매일신문

[사설] 오늘은 21대 총선 투표일입니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일인 15일 경남 창원시 의창구 용지동 창원신월초등학교에 마련된 투표소에서 한 유권자가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일인 15일 경남 창원시 의창구 용지동 창원신월초등학교에 마련된 투표소에서 한 유권자가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21대 국회의원 선거날이 밝았다. 모든 선거가 다 그러하지만, 이번 선거의 의미는 특히 중차대하다.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현 집권 세력의 국정 운영에 대한 국민의 동의 여부가 결정되고, 우리 앞에 긍정적인 미래가 펼쳐질지 아니면 그 반대가 될지도 결정된다. 다시 말해 이번 선거는 현 집권 세력의 국정 운영에 대한 중간평가라는 것이다. 문재인 정권은 코로나 사태라는 미증유의 위기를 내세워 이런 의미를 희석하려 하는데 그럴 수는 없다.

문재인 대통령은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나라'를 만들겠다고 했다. 그 약속이 실현됐느냐 또는 적어도 실현될 가능성이 있느냐가 평가의 잣대가 될 것이다.

과연 우리는 그런 나라에 살고 있거나 살게 될 희망이 있는가. 그렇다는 대답도 나올 수 있고 아니라는 대답도 나올 수 있다. 어떤 판단이든 국민의 몫이다. 이는 엄청난 책임의 문제를 제기한다. 어떻게 판단했든 그 판단이 몰고 올 결과에 책임을 지는 주체도 국민이라는 것이다. '현명한' 판단이 요구되는 이유다.

지난 3년간 우리는 경제, 외교·안보, 국민 통합에서는 물론 '평등·공정·정의'라는 도덕적 가치에서 격변을 경험했다. 말 그대로 '한 번도 해보지 못한' 경험이었다. 마차가 말을 끄는 '소득주도성장'이 그렇고, 수차례의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에도 미해결인 북핵 문제가 그러하다.

또 평등과 공정과 정의를 놓고 국민이 '내 편'과 '네 편'으로 찢어진 '심리적 내전'이 그러하고, 이런 내전은 '대가리가 깨져도'라는 최면 상태가 가열시켰으며, 정권이 임명한 검찰총장을 그 정권이 공격하는 것이 그러하다.

이런 것 말고도 한 번도 하지 못한 경험은 널렸다. 이들 모두 코로나 사태라는 블랙홀로 빨려들고 있다. 국가의 주인으로서 유권자는 이에 저항해야 한다. 기억을 되살려 그 경험이 좋은 것이었는지, 다시는 경험하고 싶지 않은 것인지 성찰해 지지 정당을 결정해야 한다. 기억하지 못하는 국민은 무시해도 좋은 존재로 전락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