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CGV여의도, 로봇이 티켓 스캔하고 입장 '언택트시네마' 변신

검표 로봇 '스마트체크 봇', 미리 주문 음식 픽업, 중고거래 자판기 '파라바라' 등

CGV여의도가 비대면 서비스를 적용한
CGV여의도가 비대면 서비스를 적용한 '언택트 시네마' 극장으로 변화했다. CGV 제공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 필요성이 높아지자 CGV가 대면 서비스를 최소화한 영화관을 선보였다.

CJ CGV는 CGV여의도를 대면을 최소화한 '언택트시네마'로 새롭게 선보인다고 20일 밝혔다. 언택트시네마란 여러 첨단 기술을 접목해 비대면(untact)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개념 극장이다.

이곳에는 '픽업박스', '팝콘 팩토리 셀프바', '스마트체크' '체크봇' 등이 도입됐다.

픽업박스는 줄 서서 기다릴 필요 없는 매점이다.

매점 키오스크나 CGV 매점 주문 애플리케이션 패스트오더를 통해 메뉴를 주문한 뒤 영수증 QR코드를 픽업박스 스캐너에 인증한다. 투명한 LED 창으로 만든 픽업박스를 두드리면 문이 열리고 준비된 메뉴를 찾아가도록 했다. 팝콘, 음료 등은 바로 음식을 가져가는 팝콘 팩토리 셀프바에서도 구매할 수 있다.

각 상영관 입구에는 스마트체크 시스템을 설치했다. 상영관 입장 전 직원이 티켓을 확인하는 대신 고객이 직접 스마트체크 기기인 '체크봇'에 예매 티켓을 스캔하고 입장한다.

체크봇은 150㎝ 키에 귀여운 외형을 갖춘 자율 주행 로봇이다. 직원을 대신해 고객에게 이벤트, 상영 시간표, 상영관과 화장실 위치 등 정보를 제공한다.

CGV여의도가 비대면 서비스를 적용한
CGV여의도가 비대면 서비스를 적용한 '언택트 시네마' 극장으로 변화했다. CGV 제공

무인 중고거래 자판기 '파라바라'도 설치했다. 투명 사물함에 휴대폰 번호와 상품 설명, 원하는 가격을 입력한 뒤 판매할 중고 상품을 넣어두면 해당 물품이 필요한 누구나 물건을 구매 후 사물함을 열어 가져가는 중고거래 자판기다.

수수료 일부는 CJ그룹 사회공헌 플랫폼 CJ도너스캠프를 통해 기부된다.

CGV는 언택트시네마를 정식으로 선보이고자 예매 티켓 교환, 환불이 한 번에 가능하도록 키오스크를 업그레이드하고 매점 주문 전용 키오스크 등을 내놨다.

오대식 CJ CGV 스마트혁신팀 팀장은 "코로나19 사태로 모든 산업에서 고객 안전을 위한 언택트서비스 필요성이 대두됐다. CGV여의도에서의 운영 경험 및 관객 반응을 지켜본 다음 언택트시네마를 향후 전체 극장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