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에 설립 예정인 중수로해체기술원을 부산·울산에 들어설 원전해체연구소(원해연) 분원이 아니라 독립법인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무게감 있는 조직 구성은 물론 운영의 독립성을 충분히 보장받기 위해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1일 원전해체연구소 본원은 부산·울산 경계지역에, 분원(중수로해체기술원)은 경주 양남면 나아산업단지에 건설할 예정(매일신문 21일 자 1면)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2017년 6월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을 계기로 원해연 설립을 공식화한 뒤 지난해 4월 경수로 분야 원해연은 부산·울산에, 중수로 분야 원해연은 경주에 설립하기로 했다. 당시 정부는 광역자치단체들과 업무협약을 맺으면서 원해연 설립 방안을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않았다. 경북도가 경주에 들어설 중수로해체기술원이 부산·울산 원해연과 분리된 독립법인으로 해야 한다고 지속해서 건의했기 때문이다.
경북도는 국내 가동 원전의 절반가량이 있는데다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처리장도 있는 만큼 경북 경주가 원해연 최적지라고 밝혀왔다. 부득이하게 경수로·중수로 분야 원해연을 분리한다면 서로 독립된 법인으로 설립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정부가 원해연을 본원·분원 형태로 공식화함에 따라 경북도의 바람은 이뤄지기 어려워 보인다. 본원에 경영인력 등이 집중되면 분원 운영에 경북 입장을 충분히 반영하기 어렵고, 향후 본원과 분원 운영비 부담비율 등을 두고 지자체 사이에 신경전이 벌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총사업비 3천223억원과 인원 150명 중 중수로해체기술원 몫은 각각 723억원, 30명에 그치면서 경북도의 불만은 더욱 커지고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원해연 일부라도 유치한 것도 큰 성과이지만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중수로해체기술원 설립은 아쉬운 측면이 있다"면서도 "전 세계에 중수로 원전 해체기술은 없는 만큼 경주가 중수로 원전 해체의 중심지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앞으로 원해연 법인 설립, 재원 부담안 마련 과정에서 경북 입장을 충분히 전달해 부산·울산에 비해 홀대받지 않도록 총력전을 벌이겠다"며 "지역 업계와 동반성장하는 기술원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