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이 22일 더불어민주당의 총선 공약대로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을 모든 국민에게 지급하되 고소득자에 대해선 '자발적 기부'를 유도하는 방식의 카드를 빼들었다.
전 국민 지원을 놓고 평행선을 달려온 민주당과 정부가 절충점을 찾으면서 공은 야당으로 넘어갔다.
조정식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후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긴급성과 보편성의 원칙하에 긴급재난지원금을 전 국민 대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며, 사회 지도층과 고소득자 등의 자발적 기부를 통해 재정부담을 경감할 방안도 함께 마련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기획재정부가 '나라 곳간' 고갈을 들어 '소득 하위 30% 지급' 입장을 고수하는 가운데 총선 때 '전 국민 지원'을 약속했던 미래통합당이 당정 합의를 전제조건으로 내세우자 대안을 마련하고 맞받은 것이다.
조 정책위의장은 "자발적으로 지원금을 수령하지 않기로 의사를 표명한 국민에 대해 이 정신을 실현할 법적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기부금으로 인정해 세액 공제를 부여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된다.
정세균 국무총리도 조 정책위의장의 간담회 직후 '입장문'을 내고 "긴급재난지원금과 관련해 고소득자 등의 자발적 기부가 가능한 제도가 국회에서 마련된다면 정부도 이를 받아들이겠다"고 밝혔다.
자발적 기부로 '소득 상위 30%'의 지원금을 환수할 수 있다면 '전 국민 지급'에 동의할 수 있다는 입장으로 해석된다. 다만 여야 합의를 전제 조건으로 내걸어 통합당의 전향적 자세 변화를 촉구한 모양새다.
통합당은 떨떠름한 분위기다. 모든 국민 지급을 위해선 적자 국채발행 등 재원 확보가 관건인 데 '자발적 기부'로 이를 해결하겠다며 야당 압박에 나섰다는 것이다. 총선 때 황교안 전 대표가 '전 국민에 1인당 50만원 지급'을 약속한 바 있지만 선거 참패 이후 입장을 정리하지 못하고 있는 통합당이 어떻게 가닥을 잡을지가 관건이다.
앞서 정부는 소득 하위 70% 지급을 기준으로 편성한 7조6천억원 규모의 2차 추경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민주당의 요구대로 전 국민에게 4인 가구 기준 100만원을 지급할 경우 3조∼4조원의 증액이 필요한 상황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