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외국인 '팔자' 행진…코스피 비중 13개월 만에 최저

2개월간 20조원 팔아치워…전문가 "당분간 추세 전환 어려워"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 투자 비중이 13개월 만에 최저로 떨어졌다. 코로나19 확산이 심화한 2월 말부터 외국인 투자자들이 줄기차게 '팔자' 행진을 이어간 탓이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4일 종가 기준 외국인이 보유한 주식은 전체 코스피 시가총액 1천271조1천593억원 중 468조1천744억원으로 36.69%를 차지했다. 지난해 3월 20일(36.69%) 이후 13개월 만의 최저치다.

지난해 초 30% 중반대를 오갔던 외국인 투자자 비중은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감이 부각된 지난해 말부터 유입되기 시작해 올해 2월 24일에는 39.3%까지 증가하기도 했다. 하지만 2월 말부터 코로나19 감염증이 악화하자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의 '패닉 셀링'(panic selling·공황 매도)이 나타났다.

외국인은 지난 2월 24일부터 이달 24일까지 두 달(44거래일) 동안 유가증권시장에서 20조1천969억원을 누적 순매도했다. 이 기간 동안 외국인이 순매수를 기록한 것은 지난달 4일과 이달 17일 단 이틀뿐이다.

이같은 매도 공세에 지난달 19일 1,457.64까지 700포인트 넘게 떨어졌던 코스피 지수는 개인투자자들의 엄청난 매수세에 힘입어 이달 24일 1,889.01까지 회복했지만 여전히 외국인들은 순매도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다만 외국인 순매도의 정도는 현저히 약해졌다.

증시 전문가들은 외국인의 순매도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코로나19로 인한 리스크가 아직 해소된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현금 확보가 급한 상황인데다, 아직 한국 시장이 순매수 기조로 추세를 전환활 정도로 온기가 도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