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세계 일부 지역에서 발생 중인 백신 유래 소아마비(vaccine-derived polio) 바이러스를 박멸할 치료제가 개발됐다.
백신 유래 소아마비는 세이빈(Savin) 소아마비 경구형 생백신에 사용된 독성을 약화시킨 바이러스가 이 백신을 맞은 사람으로부터 탈출해 소아마비 백신 접종이 잘 안 된 지역사회에서 번질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 경우를 말한다. 즉, 소아마비 치료를 위해 사용된 바이러스가 다른 곳에서 번져 발병하는 것이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학의 라울 안디노 미생물학-면역학 교수가 미국 백신 혁신센터, 벨기에 안트베르펜대학, 영국 국립생물표준통제연구소의 바이러스 전문가들과 함께 개발한 이 새로운 경구 소아마비 백신은 1상 임상시험에서 효과가 확인됐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25일 보도했다.
소아마비 바이러스는 백신 개발로 세계에서 거의 박멸됐었다. 그러나 최근 세계 일부 지역에서 백신 유래 소아마비(vaccine-derived polio)가 번지면서 새로운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세이빈 경구형 백신을 재설계해 이러한 약점을 차단한 새로운 백신이 개발했다. 연구팀은 세이빈 경구 백신에 들어있는 약화된 바이러스가 3단계의 진화를 거쳐 변해 이 무해한 백신을 지역사회를 위협할 수 있는 백신으로 만든다는 사실을 알아냈고 보다 정교한 설계를 통해 이를 차단할 수 있는 안전한 백신을 만들었다.
1상 임상시험은 벨기에 안트베르펜대학에서 죽은 소아마비 바이러스로 만든 불활성화 백신(inactivated vaccine)을 앞서 맞은 성인 15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그 결과 새 백신이 세이빈 백신보다 안정성이 강하고 효과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상당히 많은 항체도 형성됐다.
연구진은 이 백신 속의 바이러스가 백신을 접종한 사람의 분변에서 남아있었지만, 생귀를 감염시키거나 마비를 유발하지는 않았다고 전했다.
이에 반해 세이빈 백신을 생쥐에 주입했을 땐 10마리 가운데 9마리 꼴로 마비 증세가 발생했다.
이 백신은 현재 2상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3상 임상시험도 준비하고 있다.
WHO는 백신 유래 소아마비 차단을 위해 새로운 백신 개발이 신속하게 완료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숙주 세포와 미생물 'Cell Host & Microbe' 최신호를 통해 공개됐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