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통합당 '김종인 비대위' 무산 위기…상임전국위원회 불발

상임전국위 당헌 개정 불발…김종인 비대위 불투명

미래통합당 21대 총선 당선인들이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당선자 총회에서 심재철 당대표 권한대행 인사말을 들으며 박수치고 있다. 연합뉴스
미래통합당 21대 총선 당선인들이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당선자 총회에서 심재철 당대표 권한대행 인사말을 들으며 박수치고 있다. 연합뉴스

미래통합당의 차기 전당대회 일정(8월 31일)을 삭제하기 위한 당헌 개정이 불발됐다. 이에 따라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를 출범시키기 위해 예정된 전국위원회 개최도 불투명해져 사실상 김종인 비대위가 불발된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통합당은 28일 오후 2시 여의도 63빌딩에서 상임전국위원회(상전위)를 열려고 했지만, 정원 45명 중 과반에 못 미치는 17명만 참석해 상전위가 열리지 못했다.

정우택 상전위 의장은 "여러 가지 종합적으로 판단한 결과 오늘 제1차 상임전국위는 개최하지 않는 것으로 선언한다"고 밝혔다.

상전위에서는 비대위원장의 임기 제한을 삭제하는 방식의 당헌 개정이 논의될 예정이었다. 앞서 지난 2월 통합당 출범 당시 당헌 부칙에는 차기 전대를 올해 8월 31일까지 개최, 새 지도부를 꾸리는 경과규정이 생겼다.

상전위에서 당헌 개정 논의를 거쳐 이날 오후 3시 전국위에서 김종인 비대위원장을 추대할 계획이었다. 상전위는 당헌 변경을 전국위에 요청할 수 있고, 전국위는 비대위원장 임명과 당헌 변경을 의결할 권한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날 상전위가 무산되자 정 의장은 "상전위가 열리지 않았기 때문에 전국위도 열기 어려울 듯하다"고 예상했다.

다만 "(상전위 무산으로) 당헌·당규 개정안은 전국위에 올라갈 수 없는 거고, 일단 김종인 비대위 체제는 전국위 성원이 되고 정상적으로 회의가 운영된다면 그 여부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통합당의 전국위 재적인원은 639명으로, 이 가운데 과반이 참석해야 전국위가 열릴 수 있다.

김종인 전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이 비대위원장직 수락 조건으로 임기 제한없는 비대위원장을 요구했기 때문에 상전위 불발로 김종인 비대위 출범도 불투명해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