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체제' 도입이 사실상 무산됨에 따라 미래통합당은 총선 참패 후폭풍을 수습하기 위한 본격적인 내부 격론에 돌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먼저 비대위 체제 도입시도가 물거품이 되면서 이를 밀어붙인 현 지도부의 위상이 급격하게 추락할 전망이다. 현 지도부 가운데 대부분이 4·15 총선에서 낙천·낙선해 당을 주도할 명분이 없는 상황에서 쓴 무리수까지 좌절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당의 권력은 차기 원내대표에게로 급격하게 쏠린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총선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된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대구 수성을)는 이날 오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을 통해 "이젠 총선을 망친 지도부는 당연히 물러나고 당선자 총회가 전권을 갖고 비대위를 구성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치권에선 통합당이 신임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비대위를 꾸린 후 안정적인 지도체제 안착과 차기 대선 준비를 위해 조기 전당대회 개최를 모색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번 비대위 도입 무산 과정에서 '당의 당면한 숙제는 힘들더라도 내부에서 해결하자'는 공감대가 형성됐기 때문이다.
경북의 한 당선인은 "총선에서 참패를 기록했지만, 원내 의석 100석이 넘는 제1야당이 위기 수습을 외부에만 의존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이른바 제대로 된 '푸닥거리'를 통해 당의 진로를 스스로 만들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총선 참패에 대한 원인 분석과 향후 대선 준비방향을 둘러싸고 격렬한 노선투쟁이 예상된다. 당이 거듭나야 한다는데는 이견이 없지만 어떻게 당의 진로를 정하느냐에 따라 차기 당내 대선경쟁구도가 출렁일 수 있는 것.
통합당 관계자는 "당내 차기 대권주자가 개개인이 상징하는 가치들이 있는데 당의 노선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서로 격렬하게 자신이 주창해 온 가치가 당의 비전에 부합하다는 주장을 쏟아낼 공산이 크다"며 "대선 전초전 성격이 될 수 있어 경쟁이 불을 뿜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와 함께 공천과정에서 탈당해 무소속으로 당선된 중진들의 복당 문제도 본격 논의될 전망이다. 거대 여당을 상대하기 위해선 보수진영이 총력전을 펼쳐야 한다는 명분으로 복당을 시도하는 인사들과 이를 견제하려는 힘이 충돌할 전망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