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사업체 종사자 사상 첫 감소…고용 충격 극복에 힘 합쳐야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일자리 상황이 악화일로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1인 이상 사업체 전체 종사자 수가 1천827만8천 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2만5천 명이나 줄었다. 고용부가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9년 6월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특히 고용이 불안정하거나 영세 사업장 등 취약한 계층이 일자리 충격을 고스란히 받아 우려가 크다. 계약 기간이 1년 미만인 임시·일용직 종사자 수가 12만4천 명 급감했고, 일정한 급여 없이 실적에 따라 수수료를 받거나 일을 배우기 위해 무급으로 일하는 기타 종사자도 9만3천 명 줄었다. 300인 미만 사업장 종사자 수는 25만4천 명 감소했다. 코로나가 급속히 확산했던 대구와 경북의 사업체 종사자 감소율이 전국 최상위권을 기록한 것도 걱정이 아닐 수 없다.

안 그래도 냉랭했던 일자리 시장은 코로나 사태까지 겹쳐 최악의 한파가 몰아치고 있다. 더 심각한 문제는 갈수록 고용 상황이 악화할 것이고, 그 끝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실물경제 위축과 고용 충격은 앞으로가 더욱 걱정"이라며 "그야말로 경제 전시 상황"이라고 언급할 정도로 절박한 상황이다.

일자리 지키기는 코로나가 초래한 국난 극복의 핵심 과제다. 이에 따라 정부는 10조원 규모의 긴급 고용안정대책을 내놓는 등 일자리 충격을 최소화하려고 안간힘을 쏟고 있다.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경영계·노동계의 동참이 필수적이다. 일자리 지키기를 위한 대타협을 이뤄내고 고통 분담에 나서야 한다.

누누이 강조했지만 정부 역할이 중요하다. 정부는 기업이 필요로 하는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일자리 지키기와 더불어 고용시장에서 밀려나는 사람들을 위한 대책 마련도 정부가 할 일이다. 일자리는 결국 기업이 만들 수밖에 없다. 정부는 이를 인식해 지금껏 고집한 기업 옥죄기를 버리고 기업 살리기에 힘을 쏟아야 한다. 기업이 무너지면 일자리가 사라지고, 경제는 물론 국민 삶을 지킬 수 없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