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수수료 부담을 줄이는 '대구형 공공배달앱' 구축 사업이 본격화되고, 지역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대상 경영안정자금 규모와 비대면 온라인 마케팅 지원이 확대된다.
대구시는 7일 오후 대구상공회의소에서 '제2차 코로나19 비상경제 대책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논의했다. 대책회의는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재하 상의회장을 공동의장으로 지역 금융기관과 경제단체들이 참여한 대구경제 컨트롤타워다. 비상경제시국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달 23일 출범했다.
이날은 금융·세제, 기업, 소상공인, 고용안정 등 분과별로 지난달 27~29일 동안 논의한 주제를 안건으로 상정하면서 대구형 공공배달앱 구축 사업 등 각종 지원 방안이 테이블 위에 올랐다.
대구형 공공배달앱 구축사업은 국내시장을 장악한 거대 온라인 플랫폼이 장기적으로 수수료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소상공인의 수수료 부담을 해소할 대책이 필요하다는 취지에서 추진됐다.
구체적 방안으로는 대구시가 직접 플랫폼을 구축하는 방안과 챌린지 공모를 통해 스타트업 기업을 육성하는 방안이 거론되다 시장 반응을 적극 반영할 수 있는 공모 방식으로 가닥이 잡혔다.
대구시 관계자는 "대구에서 음식 주문으로 배달앱에 흘러가는 연간 비용은 500억원으로 추산된다"며 "다음달부터 조례 개정과 평가 업체 선정, 시스템 개발, 가맹점 모집 절차를 서두른다면 내년 1월쯤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 지원되는 대구시 경영안정자금 규모도 확대된다. 대구시가 마련한 기금 1조2천억원 가운데 1조468억원(87%)이 소진되자 자금 규모를 1조원 확대해 모두 2조2천억원까지 늘리기로 했다.
앞서 대구시가 계획한 경영안정자금은 8천억원 수준이었으나 1차 추경을 통해 4천억원을 증액한 바 있다. 소상공인 생존자금(현금 100만원) 사용 기간도 9월에서 11월로 연장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기존 해외마케팅 지원사업의 방향을 전환해 온라인·비대면 마케팅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매월 1회를 '착한 소비자의 날'로 지정해 소비를 촉진시킬 계획이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