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92) 할머니의 지난 7일 기자회견으로 핫 이슈로 떠오른 정의기억연대(정의연)의 성금과 기금 모금 내역과 사용처와 관련, 최근 4년간 약 49억여원을 기부받았고, 이중 9억여원을 피해자 지원에 쓴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정의연이 국세청 홈택스에 공시한 2016∼2019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에 따르면 이 단체는 2016년 12억8천800만원, 2017년 15억7천500만원, 2018년 12억2천700만원, 2019년 8억2천500만원을 기부받았다.
이 기간에 정의연이 위안부 피해자에게 지원한 내역은 2016년 30명에게 270만원, 2017년 45명에게 8억7천만원, 2018년 27명에게 2천300만원, 2019년 23명에게 2천400만원이다. 기부금 대비 지원금 비율은 약 18.7%다. 지난해 말 기준 잔금은 약 22억6천만원이었다.
이와 관련,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당시 외교 업무를 맡아 보았던 미래한국당 조태용 대변인은 "더불어시민당이 '피해자 코스프레'로 이용수 할머니의 명예를 훼손하고 있다"며 "사안의 본질은 '30년간 속을 만큼 속았고 이용당할 만큼 당했다', '성금이 할머니들을 위해 쓰이지 않는다'라고 통탄한 이용수 할머니의 용기 있는 폭로"라고 지적했다. 조 대변인은 이어 "49억원의 기부금 중 할머니들께 9억원만 드렸다면 상식적으로도 누구든 의혹을 가질 수밖에 없다"며 더불어민주당과 더불어시민당을 향해 "윤미향 전 대표를 비롯해 정의기억연대의 활동, 자금 집행 내역에 대해 철저한 진상 조사를 다짐하고 촉구하는 것이 도리"라고 강조했다.
이처럼 논란이 숙질 기미를 보이지 않자 정의연은 11일 기부금 관련 논란에 관한 추가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이에 앞서 이용수 할머니는 7일 회견에서 "(정의연에) 성금·기금 등이 모이면 할머니들에게 써야 하는데 할머니들에게 쓴 적이 없다", "(수요집회에) 참가한 학생들이 낸 성금은 어디 쓰는지도 모른다"고 주장했다.
이 할머니 주장에 대해 정의연은 8일 입장문을 내고 "후원금을 피해 할머니 지원, 위안부 문제 국제사회 인식 제고를 위한 활동, 수요시위 개최, 피해자 소송지원, 관련 콘텐츠 제작 사업 등에 사용하고 있다"고 해명한 바 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