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서만 사용 '행복페이' 출시…자영업자 숨통 틜까?

市가 발행…결제 수수료 전액 지원
연말정산 땐 소득공제율 30% 적용

다음달 정식 발행을 앞두고 있는
다음달 정식 발행을 앞두고 있는 '대구행복페이' 디자인 시안. 대구시 제공

코로나19로 시름이 깊어진 지역 소상공인을 향한 지원책들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대구시는 1천억원 규모의 지역상품권을 다음 달 정식 발행한다고 27일 밝혔다. 명칭은 '대구행복페이'로 지난 3월 시민참여 공모전을 통해 선정했다. 지역상품권이란 대구시가 직접 발행하고 대구에서만 사용 가능한 상품권(충전식 선불카드)을 말한다.

우려했던 카드 결제 수수료는 대구시가 전액 지원한다. 대구행복페이도 선불카드이기 때문에 카드 결제 수수료가 발생하는데, 대구시는 카드 연 매출 10억원 이하 일반 가맹점에 대해서는 결제 수수료 전액을 지원하기로 했다.

대구시는 이번 지역상품권 발행으로 지역 소상공인 등에게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가 최대 2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구행복페이를 구매하는 시민들에게는 구매 금액의 7~10%에 달하는 할인 혜택이 주어지며, 연말정산 과정에서 소득공제율 30%가 적용된다.

이승호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역외 수입이 많은 지역 경제 특성상 초기 발행 규모는 1천억원이 적정할 것으로 판단했다"며 "추후 시장 반응에 따라 확대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소상공인을 위한 정부 지원금도 추가된다. 앞서 대구시는 업체당 100만원씩 현금으로 지원하는 '소상공인 생존자금'을 마련한 바 있다.

이후 고용노동부도 전국 소상공인 등에게 최대 150만원을 지원하는 '긴급고용안정 지원금'을 내놨지만, 대구시가 지원한 생존자금과는 중복수급이 불가능했다.

하지만 대구시는 이후에도 고용노동부와 지속해서 협의를 이어갔고, 매출과 소득에 따라서 일부 업체들은 중복수급도 가능해졌다고 이날 밝혔다. 대구시 지원과 정부 지원을 포함해 최대 250만원까지 받을 수 있는 중복 수혜업체는 약 8만여개로 추산된다.

이 밖에도 철거 비용과 전기요금에 관한 지원도 이어진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대구·경산·봉화·청도 8천200개 점포에 최대 200만원씩 철거 및 원상복구 비용을 지원한다. 한국전력도 오는 9월까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지역의 모든 소상공인에게 전기요금 6개월분의 50%를 감면한다.

신청을 원하는 소상공인들인 희망리턴패키지 시스템(http://hope.sbiz.or.kr)으로 접속하거나 한전사이버지점·고객센터(123)로 문의하면 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