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해 강화된 비대면 경향으로 집밥 소비가 늘면서 고기, 생선, 채소 등 식료품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는 중에도 과일값은 나홀로 내림세를 이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통계청의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 5월 과일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11.43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 내렸다.
과일 가격은 지난해 8월 이후 지난달까지 10개월 연속 하락해 지난 2013년 2월부터 2015년 9월까지 32개월 연속으로 내린 이후 과일값이 최장 기간 하락세를 보였다.
지난달 과일값 하락을 자세히 보면 복숭아(-23.3%), 배(-18.0%), 귤(-11.6%), 사과(-9.1%)의 하락 폭이 컸다. 다만 밤(10.0%), 바나나(7.7%), 블루베리(7.5%), 오렌지(7.4%) 등은 올랐다.
대구 과일값은 품목별로 오르내림이 다양했으나 하락폭은 컸고 상승폭은 작았다.
대구시가 지역 전통시장 8곳을 조사해 발표하는 가격정보에 따르면 지난달 참외(-22.2%), 수박(-13.0%), 딸기(-7.7%) 등의 가격이 전월과 비교해 큰 폭으로 떨어졌다. 반면 사과(3.9%), 배(1.6%) 등의 가격은 소폭 올랐다.
과일값 내림세와 달리 육류, 어류, 채소류 등의 가격은 올랐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돼지고기, 국산 쇠고기 등 육류는 7.0% 상승했고, 고등어, 명태, 갈치 등 어류도 6.8% 올랐다. 채소류 가격은 배추와 양배추의 가격이 크게 뛰어 전체적으로는 9.1% 올랐다.
이같은 대조적인 결과에 대해 통계청 관계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육류 등의 품목은 수요가 많아졌으나 과일 수요는 평소와 비슷한 상황에서 과일 작황이 호조였던 영향"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