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자산 7.7억 돼야 중산층"…현실은 자산 3.3억 수준

7.7억은 상위 20%의 가계 순자산에 해당…이상과 현실 괴리 높아

대구시내 아파트. 매일신문DB.
대구시내 아파트. 매일신문DB.

한국인들은 순자산이 7억원은 넘어야 중산층에 해당한다고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실제 현실 속 중산층의 평균 순자산은 3억3천만원에 불과해 이상적인 수준과 4억4천만원의 차이가 벌어졌다.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가 1일 공개한 '2020 중산층보고서'에 따르면 30∼50대 1천349명을 온라인으로 설문한 결과, 응답자들은 순자산이 7억7천만원(4인 가구 기준)은 돼야 이상적인 중산층의 조건에 부합한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7억7천만원은 2019년을 기준으로 봤을 때 상위 20% 가계의 순자산에 해당한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중산층 10명 중 4명(40.5%)는 스스로를 하위층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며 "순자산 기준으로 상위 20% 안에는 들어야 자신을 스스로 중산층으로 인정한다"고 설명했다.

응답자들은 월 소득 수준이 622만원, 소비 수준이 395만원은 돼야 중산층에 해당한다고 생각했지만, 정작 설문에 참여한 중산층 가구(중위소득의 75∼200% 구간)의 월평균 소득은 488만원, 소비 수준은 227만원이었다.

특히 중산층 10명 중 7명(67.2%)은 '은퇴 후 중산층 계층을 유지할 자신이 없다'고 답했다. 실제 중산층의 절반 이상(52.3%)은 '노후준비를 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희망 월 노후 생활비는 부부 2인 기준 279만원으로, 스스로 예상하는 노후생활기간은 평균 25.2년이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