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자당 소속 선출직들의 잇따른 성추문을 다루는 태도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018년 3월 안희정 전 충남도지사 사건이 발생한 후 당에서 대책을 내놓았지만 이를 제대로 실행하지 않은 탓에 오거돈 전 부산시장과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까지 이어졌다는 것이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서 안 전 도지사 모친상 조문 논란, 박 전 시장 성추행 의혹 관련 대응 등을 문제 삼는 여성들의 민주당 탈당 인증 사진 게시가 잇따른다. 여기에 더해 민주당이 13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 후보 추천위원으로 장성근 전 경기중앙변호사회장을 선정하면서 성난 민심에 기름을 부었다. 장 전 회장이 'n번방' 조주빈의 공범을 변호했던 사실이 알려지면서다.
여론이 급격히 나빠지자 민주당은 13일 박 시장 의혹에 대해 당 차원의 공식 사과를 내놓는가 하면 14일에는 소속 여성 의원들이 진상조사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내는 등 뒤늦게 진화에 나섰다.
이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안 전 도지사 사건 때 약속을 제대로 지키지 못한 것이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안 전 도지사 성추문이 폭로됐을 때 민주당은 2시간 만에 그를 제명했다. 이틀째에는 추미애 당시 대표가 ▷피해자 보호주의 ▷불관용 ▷근본적 해결 등 '권력형 성폭력 대응 3대 원칙'을 공언했다.
그러나 올해 오 전 부산시장 때는 그가 성추행을 인정하고 시장직에서 물러난 지 사흘 만에 출당·제명을 결정했다. 박 전 서울시장은 사망해 출당·제명을 논할 수 없긴 했으나 오히려 당에서 그가 고인이 된 점을 앞세워 대중의 '관용'을 유도하는 등 갈수록 느슨한 모습을 보였다.
'근본적 해결'을 위해 제시한 ▷여성폭력방지법 제정 ▷형법상 사실적시 명예훼손 폐지 ▷성폭력처벌법 공소시효 배제 추진 등 입법 과제도 결실이 기대에 못 미친다. 여성폭력방지법과 13세 미만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성범죄 공소시효 폐지만 20대 국회에서 처리됐을 뿐, 21대 국회에 후속 법안이 발의돼도 이를 당론으로 추진하겠다는 움직임이 없다.
정치권 관계자는 "민주당이 시도당에 성폭력 신고센터를 만들고 운영하라고 했지만, 실제 시도당에는 근무자가 몇 명 되지 않아 실효성 있게 운영하기가 힘들다"면서 "지난 총선 때 중앙당에 젠더폭력신고센터를 두기도 했는데 그마저도 현재는 운영이 안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내편은 묻지마 사면, 니편은 묻지마 구속(?)'…정권 바뀐 씁쓸한 현실
[단독] 다큐3일 10년 전 '안동역 약속' 지키려 모였는데… 갑작스러운 폭발물 신고에 긴장
유승준 "사면? 원치 않아…한국서 돈 벌고 싶은 생각도 없다"
김여정 "확성기 철거한 적 없어…대북조치, 허망한 '개꿈'"
김문수, 당사서 '무기한 농성' 돌입…"무도한 압수수색 규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