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스코 프리미엄 강건재 통합브랜드인 '이노빌트'로 시장 확대 본격 시동

올해는 홍수 등 비피해 솔류션을 제시한 '포스맥 저류조'가 눈길

포스맥(PosMAC) 저류조 앞에서 제철산업과 포스코 관계자가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포스코 제공
포스맥(PosMAC) 저류조 앞에서 제철산업과 포스코 관계자가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포스코 제공

포스코가 프리미엄 강건재 통합 브랜드인 '이노빌트(INNOVILT)'를 중심으로 고객사 판매 확대를 꾀하고 있다.

이노빌트는 품질과 성능을 검증받은 포스코 철강재를 100% 사용한 강건재 제품으로, 포스코가 분기마다 개최하는 브랜드 위원회에서 심의를 거쳐 선정된다. 포스코는 이노빌트를 통해 강재의 프리미엄화를 추진하고, 일반 소비자도 누구나 믿고 쓸 수 있는 건설 자재 브랜드를 만들겠다는 포부다.

포스코는 올해 상반기 50개 제품을 이노빌트로 선정했다. 이 중 경남 진주의 ㈜제철산업이 생산하는 '포스맥(PosMAC) 저류조'는 최근 전국적인 폭우와 홍수 문제를 해결하는 솔류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포스맥 저류조는 포스코, 제철산업,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등이 공동 개발한 친환경 빗물 저장 및 이용 시설이다.

이 제품은 일명 '녹슬 걱정 없는 철'인 포스코의 고내식 합금강판 '포스맥'을 소재로 하고 있다. 때문에 홍수와 가뭄에 대비해 빗물을 저장하는 시설의 소재로 제격이라는 평가다.

제품개발은 2001년 포스코 기술개발실이 국내 실정에 맞는 저류조를 만들어보자고 제안하면서 시작됐다. 개발과정에서 여러 시행착오 끝에 소재를 아연도금강판에서 포스맥으로 변경하면서 제품 안정성과 성능이 크게 높아졌다. 이런 과정을 10년 반복하며 제철산업과 포스코가 2011년 포스맥 저류조 상용화를 일궈낸 것이다.

포스맥 저류조는 플라스틱과 콘크리트 저류조보다 경제적·친환경적 측면에서 만족도가 높다. 또 6일이면 시공이 모두 끝나 기존 수십 일 소요되던 플라스틱 혹은 콘크리트 시공보다 비용이 저렴하고 유지관리가 쉽다.

아울러 포스맥 저류조 원자재인 스틸은 99%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폐기 시 환경오염 우려도 거의 없다.

이런 우수성 덕분에 포스맥 저류조는 한국토지주택공사 '2019년 LH 우수 신기술'로 선정되기도 했다.

제철산업은 현재 포스코와 이노빌트 얼라이언스 협약을 맺고 경쟁력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이노빌트 제품으로 선정되면 고객사는 해당 상품에 인증 태그를 부착해 판매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다양한 채널을 통한 마케팅 효과도 누릴 수 있다.

서권덕 제철산업 대표는 "이노빌트를 통해 포스코에서 품질을 보증해주니 고객 신뢰가 높아졌고, 직원들도 한층 더 자신감 있게 영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