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텅 빈 나라 곳간?…"상반기 재정적자 111조, 덜 걷힌 세금 23조"

기재부 '월간 재정동향 8월호' 발간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부동산 세제개편 주요 내용 등 최근 주요 정책현안에 관해 설명하기 전 마스크를 벗고 있다. 연합뉴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부동산 세제개편 주요 내용 등 최근 주요 정책현안에 관해 설명하기 전 마스크를 벗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재정 지출은 늘린 반면 세금은 덜 들어오면서 올해 상반기 나라살림 적자가 역대 최대인 111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가 11일 발간한 '월간 재정동향 8월호'에 따르면 올해 1∼6월 총수입(226조원)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조1천억원 감소하고, 총지출(316조원)은 31조4천억원 증가해 수지 적자폭이 커졌다.

총수입 감소는 국세 수입이 크게 줄어든 영향으로, 국세 수입은 132조9천억원으로 작년보다 23조3천억원 감소했다.

정부의 올해 세금 목표액 중 실제 걷은 금액이 차지하는 비율인 세수 진도율(2차 추가경정예산 기준)은 45.7%로 지난해(53.2%)보다 7.5%포인트(p) 하락했다.

세목별 진도율을 보면 소득세(40조9천억원) 46.2%, 법인세(29조3천억원) 45.5%, 부가세(31조원)는 45.2% 등이었다.

6월 한 달 국세 수입은 14조7천억원으로 작년 6월보다 1조9천억원 감소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상반기 코로나19 세정 지원에 따른 납기 연장(-11조3천억원), 2019년 하반기 근로장려금 신청분 지급(-6천억원)을 감안하면 실제 1~6월 누계 세수는 전년보다 11조4천억원 감소했고, 6월 세수는 7천억원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고용보험기금 지출과 1∼3차 추경 집행으로 6월 총지출은 1년 전보다 6조9천억원 늘어난 56조5천억원을 기록했다.

상반기 총지출은 316조원으로 지난해 보다 31조4천억원 증가했다.

총수입은 줄고 총지출은 늘면서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상반기 통합재정수지 적자는 90조원으로 늘었다.

작년 상반기보다 적자폭이 51조5천억원 커진 것으로, 적자 폭이 지난 1~5월 60조원대에서 크게 올랐다.

통합재정수지에서 4대 보장성 기금을 빼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상반기 110조5천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적자폭이 51조원 커졌다.

통합재정수지와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올해 들어 매달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6월까지 통합재정수지와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11년 이후 가장 컸다.

6월 말 기준 중앙정부 채무는 764조1천억원으로 전월보다 2천억원 줄었다. 국고채가 6월에 상환된 데 따른 것이다.

중앙 부처와 공공기관의 올해 '조기집행 관리대상사업' 305조5천억원 중 6월 말까지 집행한 실적은 203조3천억원으로 연간 계획 대비 66.5% 집행률을 보였다.

기재부 관계자는 "조기 집행 및 세목 특성상 매년 6월 수지는 적자를 보여온 데다 올해는 코로나19 대응으로 적자 규모가 확대됐다"면서 "연말까지 정부 전망 수준으로 관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