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주민 반대 '취수원 설명회', 비공개 진행 논란

환경부 내달 연구용역 마무리 방침
해당 지역민 "밀어붙이기 안 돼, 알 권리와 의견 반영 보장"

지난 5일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지난 5일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낙동강 유역 통합 물관리 방안 마련 연구' 중간보고회에서 지역 시민단체가 단상에 올라 환경부 정책을 비판했다. 시민단체의 시위로 중간보고회는 연기됐다. 서광호 기자

환경부의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방안 설명회(매일신문 8월 6일 자 1·3면)가 주민 참여없이 비공개로 진행된다. 지난주 지역별 주민대표들이 참석해 열 예정이었던 설명회가 시민단체와 주민 등의 반대로 무산되자 지방자치단체 공무원과 전문가 등 일부만 참여하는 영상회의로 대체한 것이다. 이에 해당 지역 주민들은 "주민을 제외한 채 취수원 계획을 밀어붙이려고 한다"며 비판하고 있다.

환경부는 취수원 다변화 방안을 제시하는 '낙동강 유역 통합 물관리 방안 연구용역' 중간보고 설명회를 12일 비공개 영상회의 방식으로 연다고 11일 밝혔다. 이후 다음 달 말까지 연구용역을 마무리하고 나서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에 물관리 방안을 상정, 연말 안에 취수원 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애초 지난 5일 경남 창원에서 현장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었지만, 시민단체와 주민 등의 반대로 무산됐다. 현장 설명회에선 지자체 공무원과 전문가뿐 아니라 각 지역 주민대표도 참석해 질의응답을 시간을 가지려 했지만, 이번 비공개 영상회의에선 규모가 축소돼 주민 참여가 제한되게 됐다.

이에 구미와 안동 주민들은 반발했다. 윤종호 대구취수원 이전 구미시 민관협의회 위원장은 "주민 반대로 무산된 설명회를 주민 참여없이 다시 진행한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방안을 확정하기 전에 주민의 알 권리와 의견 반영을 충분히 보장해야 한다"고 했다.

이대원 안동상공회의소장은 "임하댐 물을 새롭게 취수하면 상수원 관련 규제가 늘어나고 그 피해를 주민들이 안을 수밖에 없는데, 주민 의견 수렴 없이 용역을 진행하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환경부는 이번 연구용역 완료 전에 주민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들겠다는 입장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지난 현장 설명회가 무산된 이후 일부 지역에 수해 피해가 발생하는 등 상황이 여의치 않아 온라인으로 대체하게 됐다"며 "해당 지자체와 협의해 오프라인 주민 설명회를 열 계획이고, 용역 완료 이후에도 지속해서 지역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시는 구미와 안동 등 해당 지역 주민 설득에 집중할 계획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취수원 다변화를 위해선 반드시 지역 주민의 동의가 필요한 만큼 환경부 용역 내용을 바탕으로 지자체와 협의하겠다"며 "무엇보다 용역 완료 이전에 지역 간에 합의가 이뤄질 수 있도록 설득해갈 것"이라고 했다.

한편, 환경부는 지난주 대구 취수원 다변화 방안으로 문산·매곡 취수장에 초고도 정수시설을 도입하고, 나머지 원수는 구미 해평취수장이나 안동 임하댐, 강변여과수 등에서 공급한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