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일요일인 23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의 전국 확대를 발표하면서 당장 이날 결혼식을 치를 예정인 예비부부들과 예식장들이 혼란에 빠졌다.
정부는 23일 0시부터 전국에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를 시행한다고 전날인 22일 밝혔다. 곧바로 클럽·룸살롱 등 유흥주점, 콜라텍, 단란주점, 감성주점, 헌팅포차, 노래연습장, 실내 스탠딩 공연장, 실내집단운동(격렬한 GX류), 뷔페, PC방, 방문판매 등 직접판매홍보관, 대형학원(300인 이상) 등은 운영이 중단된다.
문제는 실내 50인 이상, 실외 100인 이상의 인원이 대면으로 모이는 사적·공적 모임, 행사 등에 대한 집합금지 조치다. 여기엔 전시회·박람회·집회와 같은 행사는 물론, 결혼식·동창회·장례식·돌잔치, 채용 및 자격증 관련 시험 등도 포함된다.
실내 50인 기준에 가장 난색을 표하는 곳은 예식업계다. 하객과 예식 진행요원 등을 포함하면 사실상 50인 미만으로 예식을 진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정부가 토요일에 거리두기 확대를 발표하면서 혼란이 더욱 커진 모양새다. 당장 일요일 예식이 잡혀있는 예비 부부들은 결혼식을 취소하거나 미루려면 시간적 여유가 없는 상황이다.
대구 예식업계 관계자는 "예비부부들이 울면서 전화가 오고 있다. 당장 내일 점심 결혼인 분들은 새벽부터 준비를 해야 하는데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어쩔 방법이 없어 가급적 예식 연기를 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결혼식을 예정대로 치르려고 해도 '50인'이라는 기준이 예식홀 하나당 인지, 예식장 건물 전체인지 등도 명확치 않아 예식장 측도 혼란스럽다는 반응이다.
경북 한 예식장 관계자는 "당장 일부 예식은 내일 치러야할 상황인데 지자체에 문의를 해도 정확한 기준을 알려주지 않아 답답하다"며 "하객들이 오시면 50명이 넘었을 때 일부는 돌려보낼 수 있을지 그것도 고민스럽다"고 한숨 쉬었다.
먼저 거리두기 2단계가 시행되고 있는 수도권의 경우 이같은 문제가 제기되면서 서울시가 세부지침을 발표하기도 했다. 49명씩 인원을 쪼개 예식을 보게 하고, 뷔페 운영을 금지하는 대신 종업원이 음식을 가져다 주는 형식의 식당 운영은 가능하게 했다.
50명 이상이 예식장에 한번에 들어가는 건 금지되지만, 초과 인원이 참석할 경우 물리적으로 분리된 공간에 49명씩 분리 수용해 예식을 진행하는 건 가능하게 한 것이다.
한편 정부도 결혼식과 관련된 혼란이 이어지자 조만간 세부지침을 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