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장애인 건강식 배달' 절차 부실 확인

업체 선정 시 '입찰공고' 아닌 '수의계약'은 명백한 지침 위반
담당 직원 경징계, 해당 사업 일시중단 뒤 적법한 절차로 재개
특정업체 밀어주기 의혹 논란, 당사자들 "밀어주기 전혀 없어"

대구 남구청 전경. 연합뉴스
대구 남구청 전경. 연합뉴스

특정업체 밀어주기 논란(매일신문 18일자 5면)에 휩싸인 대구 남구자원봉사센터 '맞춤형 건강식 배달 사업'의 진행 절차가 처음부터 부실투성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사업 보조기관인 남구자원봉사센터가 건강식 제조업체와 수의계약으로 사업을 진행해 불거진 밀어주기 의혹은 제대로 규명하지 못했다.

대구 남구청의 '맞춤형 건강식 배달사업' 관련 감사결과에 따르면 남구자원봉사센터가 건강식 제조업체 선정을 수의계약으로 진행한 것은 지침 위반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 남구청이 사업 보조기관으로 남구자원봉사센터를 선정하는 과정 역시 공모 절차를 거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남구청은 이 사업을 진행한 공무원에게 경징계를 내리고 '맞춤형 건강식 배달 사업'은 일시 중단하기로 했다.

남구청은 빠른 시일 내에 공모절차를 거쳐 사업 보조기관을 다시 선정한 후 사업을 재개하겠다는 입장이다. 현재까지 사업을 진행하고 남은 예산은 모두 환수할 방침이다.

논란이 일었던 특정업체 밀어주기 의혹은 끝내 밝히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진작부터 건강식 제조업체의 자격에 의심의 눈초리를 보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조리 기구가 2개밖에 없고 위생이 좋지 않아 100인분이 넘는 건강식을 만들기에 무리가 있었지만 무슨 이유에선지 수의계약으로 사업을 수탁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건강식 제조업체 대표는 "지인이 남구자원봉사센터 담당자와 아는 사이긴 했으나 사업 진행에 어떠한 영향도 끼치지 않았다"며 "조리사도 직접 채용해 건강식을 만들었다. 다짜고짜 사업에서 발을 빼라니 억울할 뿐"이라고 했다.

남구자원봉사센터 담당자는 "보조금을 내려줄 때 어떤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하라는 설명도 없었고 빨리 하라고만 해 업체를 선정한 뒤 열심히 한 것 밖에 없다. 건강식 사업 대상자들이 고맙다는 인사를 자주 해왔는데 이렇게 떠나게 돼 억울하다"고 했다.

남구청 관계자는 "정부 시범사업이라 빨리 진행하다 보니 생긴 문제다. 앞으로 공모 절차를 통해 사업 보조기관을 선정하고 관리 감독 등을 철저히 해 투명하게 사업을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