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가 300만명을 돌파했다.
인도 보건·가족복지부는 23일 인도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가 304만4천940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남부 케랄라주에서 지난 1월 30일 인도 첫 확진자가 발생한 수 206일 만이다. 지난 7일 200만명을 넘어선 뒤 16일 만에 100만명이 추가됐다.
처음 100만명을 돌파하는 데 169일이 걸렸고 이후 21일, 16일로 기간이 짧아졌다.
인도는 현재 미국(584만1천428명), 브라질(358만2천698명, 이상 월드오미터 기준)에 이어 세계에서 3번째로 누적 확진자가 많은 나라다.
인도의 확산 추세가 계속된다면 다음 달 중하순께 인도는 브라질을 제치고 세계 2위의 '감염 대국'으로 올라설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브라질은 하루 확진자 수가 최근 3만∼5만명 수준으로 떨어지며 확산세가 다소 완화된 상태다.
인도의 이날 하루 신규 확진자 수는 6만9천239명을 기록했다. 지난 20일 6만9천652명 이후 4일 연속으로 7만명에 육박하는 환자가 새롭게 나왔다.
바이러스에 노출됐다가 완치된 이들의 비율을 뜻하는 감염자 회복률은 74.9%를 기록했다.
누적 사망자 수는 이날 5만6천706명으로 전날보다 912명 증가했다.
하루 확진자 수 증가율은 2.3%를 기록했고, 치명률은 1.9%로 낮은 편이었다.
13억8천만명에 달하는 인구에 비해 검사 수가 적다는 비판을 받아온 인도는 최근 검사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분위기다.
최근 하루 검사 수는 100만건을 넘어섰고 누적 검사 수도 3천450만건(월드오미터 기준)을 기록했다.
하지만 100만명당 검사 수는 2만4천958건으로 미국(22만7천827건)보다는 크게 낮은 편이다.
인도는 지난 3월 25일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강도 높은 전국 봉쇄 조치를 도입했지만, 경제에 심각한 타격이 생기자 5월 중순부터 이를 차례로 해제했다.
이 과정에서 사람들의 통행이 자유로워지고 공장 가동이 재개되면서 확진자 수가 급증했다.
특히 뭄바이와 푸네가 있는 마하라슈트라주의 누적 확진자 수가 67만1천942명으로 가장 많다. 하루 확진자 수도 1만4천492명이나 됐다.
이 와중에 인도 정부 공식 통계의 경우 신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감염 상황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AFP통신은 최근 "뉴델리 2차 조사는 인도 공식 집계 수치에 대한 새로운 의심을 불러일으킨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