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통합당 "의료계 파업 중단…정부, 정책 철회"

김종인 "코로나 외 어떤 불필요한 논란이나 국력 낭비는 안 돼"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26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장-중진의원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26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장-중진의원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래통합당은 27일 무기한 집단휴진(파업)에 나선 전공의와 전임의들에게 파업 중단을 요청하고, 정부를 향해선 정책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김종인 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화상회의에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국가 본연의 자세에 정부가 충실해 달라"고 말했다고 김은혜 대변인이 영상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김 위원장은 정부를 겨냥해 "정부는 코로나 해결에 총력을 기울여달라. 코로나 외 어떤 불필요한 논란이나 쓸모없는 국력 낭비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앞서 김 위원장은 전날에도 정부 당국에 "정책이 힘과 의지만 갖고 관철될 수 있다는 생각을 버리라"면서 "공공의료 대학 설립 자체가 시급한 과제가 아니다. 코로나 사태 극복에 전력을 행사해달라"고 촉구했다.

권영세 통합당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정부는 공정하지 못한 공공의대 정책을 철회하고, 의료계는 파업을 멈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권 의원은 또 정부와 여권을 향해 "갈등을 정치적 목적으로, 비열한 편 가르기 전술의 일환으로 보려는 유혹에 빠져선 안 된다"면서 "국민의 생명을 담보로 서로 싸우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부연했다.

대한의사협회장 출신으로 당내 코로나19 대책특위 위원장인 신상진 전 의원은 한 언론 인터뷰를 통해 "정부가 일단 코로나19 종식 때까지 의대 정원 확대 등을 철회하고, 종식 이후에 원점에서 협의하며 결자해지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 전 의원은 "정부가 철회를 약속한다면 의료계도 하루빨리 업무를 정상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성일종 비대위원은 이날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해 "긴급한 코로나 사태 앞에서 어떤 경우로도 파업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정부가 강경하게 하지 말고 협상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여유를 가져야 한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