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광복절 집회' 참석자, 전세버스+GPS 추적

미검사자 및 검사 여부 확인 중…모두 515명
방역당국, 15일 집회 후 2주가 지나는 29일까지 진단검사 주력
시청 본관·별관 방문 확진자 접촉 직원 9명 중 8명 음성…1명은 검사 중

채홍호 대구시 행정부시장이 27일 오전 시청 상황실에서 코로나19 수도권 확산에 따른 방역대책을 브리핑하고 있다. 대구시 제공
채홍호 대구시 행정부시장이 27일 오전 시청 상황실에서 코로나19 수도권 확산에 따른 방역대책을 브리핑하고 있다. 대구시 제공

대구시는 서울 광복절 집회 참석자 명단을 추가로 확보하고 이들이 진단검사를 받는 데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전세버스 탑승자와 GPS(위성항법장치) 추적 등 '투 트랙'으로 참석자 현황을 파악, 검사 참여를 유도하면서 이후 미검사자에 대해선 법적 책임을 물을 방침이다.

27일 대구시에 따르면 전세버스 인솔자를 통해 파악한 광복절 집회 참석자는 모두 1천563명으로, 전날까지 96.8%인 1천513명이 검사를 마친 것으로 집계됐다. 검사 거부자(2명)와 검사 여부를 알 수 없는 경우(48명) 등 '50명'이 미검사자로 남았다.

아울러 시는 지난 21일 중앙사고수습본부으로부터 1차 GPS 추적 명단 679명을 확보한 뒤 중복과 검사 완료 인원을 제외한 54명의 미검사자를 확인했다. 이 중 집회 미참여자(16명)와 다른 지역민(3명) 등을 뺀 '35명'이 아직 검사를 받지 않은 상황이다. 26일에는 2차 GPS 추적 명단 1천85명을 받은 뒤 중복되거나 검사를 마친 사람을 제외한 '430명'에 대해 추가 확인 작업을 벌이고 있다.

현재 대구의 집회 참석자 중 미검사자이거나 검사 여부를 파악 중인 인원은 모두 515명인 셈이다. 이에 방역 당국은 구·군 보건소를 통해 이들의 검사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해 잠복기가 끝나는 오는 29일까지 진단검사 참여를 유도하고, 미검사자에 대해선 경찰 고발과 손해배상 청구 등 법적 조치를 진행할 방침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최근 확진 동향을 고려하면 집회 관련 지역감염을 차단하는 것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연락이 되지 않거나 검사를 거부하는 사람들을 끝까지 추적·설득하고, 이후 확진 사실이 드러나면 법적으로 책임을 묻겠다"고 했다.

한편, 지난 18일 대구시청 본관과 별관을 방문한 확진자(민원인)를 접촉한 시청 직원 9명을 검사한 결과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