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포항버스 국가유공자 무료 탑승 거부, 안 될 일

포항 시내버스가 노선 개편 이후 국가유공자에 대한 무료 탑승을 거부해 논란이 일고 있다. 사진은 포항 시내버스 중앙환승센터 전경. 매일신문DB
포항 시내버스가 노선 개편 이후 국가유공자에 대한 무료 탑승을 거부해 논란이 일고 있다. 사진은 포항 시내버스 중앙환승센터 전경. 매일신문DB

경북 포항 시내버스가 적자를 이유로 국가유공자의 좌석버스와 일반버스 무료 탑승을 거부하면서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지난달 25일 이뤄진 시내버스 노선 개편 이후에는 종전에 허용하던 일반버스의 무료 탑승조차 거부하는 바람에 논란이 되고 있다. 사정이 이렇지만 포항시는 시내버스의 적자 보전을 위해 상당한 예산을 지원하면서도 이번 민원에 대책조차 마련하지 못해 원성을 사고 있다.

포항 시내버스의 무료 탑승 거부 문제는 지적할 만하다. 먼저 포항시는 올해만 해도 버스회사에 적자 보조금 190억원의 지원을 포함, 모두 300억원 넘는 예산을 투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 시내버스가 노선 개편과 함께 시내버스 무료 탑승 허용 혜택을 없앴으니 이해하기 힘들다. 노선 개편과 적자를 이유로 무료 탑승 혜택을 없앤 조치는 납득하기 어렵다. 불만 민원이 개편 이후 20건 넘게 쏟아진 까닭이다.

게다가 많은 지자체에서 국가유공자의 버스 무료 탑승을 제공한다. 인근 경주시는 일반 시내버스는 물론 좌석버스 등 모든 버스의 무료 탑승을 제공하는 혜택을 주고 있다. 이러니 경북 제1도시 포항 시내버스 조치는 더욱 궁색하다. 더구나 포항의 일부 농촌 마을 경우, 시내버스 대신 아예 좌석버스만 다녀 마지못해 돈 내고 타고 다녀야만 한다. 사정이 이러니 포항 국가유공자의 상대적 피해감은 클 수밖에 없다.

물론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국가보훈처가 해마다 90억원가량의 예산으로 대중교통 운영 업체와 계약을 맺고 국가유공자가 이용비 지원을 받는 혜택의 폭을 늘리는 일이 급선무이다. 하지만 예산 확보에 문제가 없지 않은 만큼 우선 지자체별로 나서 해결의 길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대부분 지자체들의 국가유공자에 대한 버스 무료 승차 혜택의 제공은 바로 존경의 의미와 함께 그들을 예우하기 위함이다.

이번 포항시의 시내버스 무료 탑승 혜택 거부는 분명 재고돼야 한다. 특히 포항시는 적자 보전을 위한 막대한 지원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료 탑승 거부에 대해 그냥 손을 놓고 있어서는 안 된다. 아울러 시내버스와 함께 좌석버스 혜택 또한 이뤄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국가유공자에 대한 예우와 도리는 분명 나라의 기본 책무이기도 하지만 지방정부라고 해서 예외가 될 수는 없는 일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