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8일부터 시작된 제85회 의사국가시험 실기시험 추가 접수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원칙적인 입장을 재확인한 가운데, 의료계가 의대생에게 피해가 발생하면 전체 의사들이 총궐기에 나설 것이라고 밝혀 '의·정(醫政) 갈등'이 다시 혼돈 속으로 빠지고 있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대변인은 8일 정례 브리핑에서 "이미 한 차례의 시험 일정을 연기했고 접수 기간도 추가로 연기한 바 있기 때문에 이 이상 추가적인 접수 기회를 부여하는 방안은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 의대생들이 국가시험을 스스로 거부하고 있는데, 대한의사협회(의협)나 전공의 단체는 정부에 무엇을 요구하기보다는 의대생들이 스스로 '학업에 복귀하고 시험을 치르겠다'고 입장을 바꾸게 하는 노력을 우선하는 것이 순리"라고 말했다.
의료계 및 의대 교수들은 일방적인 의료정책에 정당하게 항의했던 의대생들에게 국시 추가 응시기회 부여를 요구하고 있다.
의협은 "정부·여당과의 합의는 의대생과 전공의에 대한 완벽한 구제를 전제로 성립된 것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면서 "단 한명의 의대생이라도 피해자가 나온다면 13만 회원들이 즉각 총궐기에 나설 수 있다"고 밝혔다.
국시 추가응시 기회가 무산된다면 일부 업무에 복귀한 전공의들이 다시 단체행동 재결집 가능성이 있다.
대구지역 의료계에 따르면 8일 오후 현재 계명대 동산병원과 대구가톨릭대병원 전공의 전원이 병원 복귀를 하지 않고 있다. 영남대병원은 모두 복귀했고, 나머지 수련병원에서는 일부 인턴, 전공의들만 병원에 들어왔다.
경북대의대 교수회는 "전공의들이 병원 복귀를 통해 합의 실현을 위해 노력하자"면서 "정부는 국시문제와 동맹휴학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집행부가 총사퇴한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이날 새로운 비대위를 꾸리고 "전국 전공의 의견이 충분히 수렴되지 않은 단체행동 지침에 이의를 제기한다"고 밝혔다.
대구의 한 병원 전공의는 "새로운 대전협 비대위가 단체행동 방향을 재설정할 경우 업무에 복귀했던 전공의들이 다시 집단휴진에 들어갈 가능성도 있다"면서 "다만 업무 복귀는 병원별로 전공의 전체 투표로 결정된 곳이 많아 번복될지는 미지수"라고 전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