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국민 통신비 2만원 지원'에 국민 10명 중 6명이 반대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발표된 가운데 정부여당이 고수 방침을 밝히면서 논란이 확산할 전망이다. 야권은 '선심성 예산'이라며 4차 추가경정예산(추경)안 심사에서 이를 수정할 것을 거듭 주장하고 있다.
청와대는 14일 전 국민 통신비 2만원 지원안을 수정할 뜻이 없다고 재확인했다.
이호승 청와대 경제수석은 이날 한 라디오 프로그램과의 인터뷰에서 "한 가족에 중학생 이상이 3~4명이라고 하면 6~8만원의 통신비 절감액이 생기는 것 아닌가"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냥 주나 마나 한 지원이 아니다"며 "통신비를 매달 내야 하는 일반 국민 입장에서 보면 그 금액이 무의미하다고까지 얘기하는 것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정부가 많은 고민 끝에 판단한 것"이라며 현재로서는 청와대가 다른 안을 고려하지는 않음을 밝혔다.
반면 국민의힘은 여권이 논란이 많은 통신비 지원을 고집하는 이유가 뭐냐며 공세 수위를 끌어올렸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비대위 회의에서 "통신비 2만원 뿌리며 지지율 관리할 때가 아니다"고 했고, 주호영 원내대표(대구 수성갑)는 "나라 재정을 걱정하고 제대로 된 생각을 갖고 하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최형두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논평에서 "청와대 경제수석이 방송에 나와 '통신비 지원 비판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했다"면서 "국민 10명 중 6명이 반대하는데도 이해가 가지 않는다는 청와대와, 전 국민 통신비로 1조 원을 쓰겠다는 행정부를 국민들은 이해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구미을)은 "전 국민 통신비 지원을 위해 단기 콜센터를 운영하는데 드는 행정비용이 10억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이 공개한 4차 추경안에 따르면 2개월짜리 콜센터에 ▷상담안내 지원 콜센터 2억7천만원 ▷사무공간 임대·운영 1억3천만원 ▷지원대상 검증 전산작업 2억1천만원 ▷사업 지원인력 1억원 ▷홍보비 및 업무협의 등 수용비 2억1천만원 등 모두 9억1천여만원이 지출된다.
김 의원은 "한 사람이 통신비 2만원을 중복해서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토록 과도한 행정비용을 지출하는 것이 타당한지 의문"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리얼미터가 지난 11일 조사해 이날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58.2%가 전 국민 통신비 2만원 지원이 '잘못한 일'이라고 평가했다. '잘한 일'이라는 응답은 37.8%였고, 4.0%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