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020 대구수성 한국지역도서전 16~18일 상화동산·수성구립도서관서 열려

온라인 플랫폼서도 중계

지난해 전북 고창에서 열렸던 한국지역도서전 모습. 대구수성 한국지역도서전 조직위 제공
지난해 전북 고창에서 열렸던 한국지역도서전 모습. 대구수성 한국지역도서전 조직위 제공

지역 출판의 가치를 되살리고 독서문화를 진흥하기 위한 '2020 대구수성 한국지역도서전'(조직위원장 문무학)이 16일(금)부터 18일(일)까지 상화동산과 수성구립도서관, 온라인 플랫폼에서 열린다.

대구 수성구와 한국지역출판연대가 주최하는 이번 도서전의 슬로건은 '지역을 다독이다, 책을 다독(多讀)하다'로 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는 비수도권 지역주민을 다독이고, 책을 많이 읽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한국지역도서전은 서울과 경기도 파주의 유력 출판사들이 국내 출판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현실 속에서도 꾸준히 지역문화를 기록하는 지역출판사들의 모임인 '한국지역출판연대'가 지난 2017년부터 개최해오고 있다.

네 번째로 열리는 이번 도서전에서는 대구와 수성구를 전국에 알리기 위해 두 가지 특별전이 마련된다. 특별전은 영상 콘텐츠로 제작돼 개막일에 온라인 플랫폼에 탑재된다. 하나는 '대구, 영남권 출판문화의 산실'로 고려시대 팔공산 부인사의 초조대장경 봉안, 조선시대 경상감영의 영영장판(嶺營藏板) 제작 및 영영본(嶺營本) 간행, 현대 인쇄기계 생산과 남산동 인쇄골목 조성 등이 영상으로 그려진다.

또 하나는 '수성, 대구 유학의 뿌리'다. 수성구 파동 출신의 조선 중기 문인 계동 전경창 선생이 자신의 집에 문을 연 계동정사(溪東精舍)를 통해 대구에 처음으로 퇴계 성리학을 전파하고, 대구 최초의 서원인 연경서원을 건립해 지역인재를 양성하면서 불의에 저항하는 대구 정신의 초석을 마련했다는 사실을 현존하는 문집 등 각종 출판물을 통해 풀어낸다.

2019년 전북 고창에서 개최됐던 한국지역도서전에서 한 시민이 책을 고르고 있다.
2019년 전북 고창에서 개최됐던 한국지역도서전에서 한 시민이 책을 고르고 있다.

전국의 지역출판사 70여 곳은 자사의 출판물과 함께, 온라인 플랫폼에 영상 등 다양한 형태로 소개된다.

도서전 첫날인 16일에는 예선을 거쳐 선정된 전국 독서동아리들의 '독서동아리 한마당'이 녹화를 거쳐 한국지역도서전 플랫폼에 공개된다. 또 지역에서 활동 중인 저자와 독자의 만남인 '도서관에 찾아온 지역 저자'(고산도서관 16일 오후 2시 최재목 권영세, 용학도서관 17일 오후 2시 권숙희 송진환, 범어도서관 18일 오후 2시 장정옥 최상대) 행사 장면도 유튜브 라이브로 생중계된다.

또한 행시기간 내 지역출판 심포지엄을 비롯해 책놀이 한 것, 가을밤의 책 영화제 등 다양한 행사도 진행된다. 053)668-1651.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