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건희 별세에 애도 표하지만 평가 여전히 갈린 여야

김종필·백선엽에 이어…이번에도 쪼개진 여야
여당 "때때로 초법적" …야당 "국민 자부심 높인 선각자"
가족장 고려해 여야 조문 여부 검토…정의 "조문 안 해"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 김태년 원내대표 등이 2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한국판 뉴딜 당정청 워크숍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 김태년 원내대표 등이 2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한국판 뉴딜 당정청 워크숍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25일 세상을 떠난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에 대한 여야 정치권의 반응이 대한민국 근대화의 주역이었던 고(故) 김종필 전 총리, 6.25 전쟁 영웅 고(故) 백선엽 장군에 이어 또다시 극명하게 엇갈렸다. 고인을 애도하는 데에는 여야가 한목소리를 냈지만, 그 공과(功過)의 평가에 대해서는 엇갈리는 목소리를 내놓은 것이다.

재계 인사이지만 여의도 정가에서도 언제나 이슈의 한복판에 섰던 주인공이라는 점에서 진보와 보수 진영의 시각차가 고스란히 드러났다.

삼성이 "가족장으로 치르기로 했다"고 밝히면서 조문 여부를 둘러싼 입장차는 뚜렷하게 부각되지 않는 모습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이 회장의 별세 소식이 전해진 지 2시간 뒤 고인의 공과를 담은 논평을 냈다.

허영 대변인은 "한국에서 가장 성공한 기업인으로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지만, 그의 인생은 파란만장했던 영욕의 삶이었다"고 평가했다.

허 대변인은 또 "삼성은 초일류 기업을 표방했지만, 이를 위한 과정은 때때로 초법적이었다"고 사실상 비판한 뒤 "이 회장의 타계를 계기로, 이재용 부회장이 지난 대국민 사과에서 국민들께 약속했던 새로운 삼성이 조속히 실현되길 바란다"고 했다.

정의당은 삼성의 개혁을 촉구하고 나섰다. 정호진 수석대변인은 "이 회장은 대한민국 사회에 어두운 역사를 남겼고 그 그림자가 이재용 부회장에게 이어졌다. 이제 재벌개혁을 자임하는 국민 속의 삼성이 되길 바란다"고 했다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가 23일 국회에서 열린 국감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가 23일 국회에서 열린 국감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반면 국민의힘은 이 회장을 "국민의 자부심을 높였던 선각자"로 존칭하며 추모했다.

배준영 대변인은 구두 논평에서 "고인은 반도체, 휴대전화 등의 첨단 분야에서 삼성이 세계 1위의 글로벌 기업이 되는 기틀을 마련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배 대변인은 "고인이 생전 보여준 '마누라, 자식 빼놓고 모두 바꿔라'라는 혁신의 마인드는 분야를 막론하고 귀감이 됐다"며 "미래를 선도할 인재에 대한 애정과 철학은 지금도 인재육성의 교본이 됐다"고 했다.

배 대변인은 또 "고인의 뜻이 헛되지 않도록 우리 모두 혁신과 노력을 통해 다가올 미래를 준비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민의당은 "경제계의 큰 별이 졌다"고 말했다. 안혜진 대변인은 "고인께서 살아생전 대한민국 경제에 이바지한 업적은 결코 적지 않았다"며 "편히 영면하시길 기원한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