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건희 회장 주식 상속되면 주식 부호 1~4위 모두 삼성家

이재용 부회장 1위 확실시…이부진·서현 자매도 약진할 듯
상속세 감안해도 삼성 일가는 약진

28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선산에 마련된 고(故) 이건희 삼성 회장 장지에서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왼쪽부터), 이부진 호텔신라 대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이 장지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28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선산에 마련된 고(故) 이건희 삼성 회장 장지에서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왼쪽부터), 이부진 호텔신라 대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이 장지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고 이건희 삼성 회장의 별세 후 상장사 기준 국내 주식 부호 순위에 삼성가 사람들의 순위가 대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2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기준 이 전 회장이 보유한 삼성전자(4.18%) 등 국내 상장사의 지분평가액은 17조7천374억원에 달한다.

이 전 회장은 2009년부터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을 제치고 10년 넘게 국내 주식 보유1위였다.

삼성가를 보면 이재용 부회장(7조3천324억원)이 2위에 올라있고, 이 전 회장 부인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3조1천463억원)이 5위에 랭크돼 있다.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과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은 1조6천768억원씩으로 공동 14위다.

이 전 회장의 지분을 삼성 일가가 법정비율(부인 1.5대 자녀들 각 1)대로 상속받는다고 가정(세전)하면 홍 전 관장이 가장 많은 5조9천131억원을, 이 부회장 등 3명의 자녀가 각각 3조9천420억원을 상속받게 되고 이 부회장의 지분평가액은 처음 10조를 넘어서며 11조2천744억원의 지분가치로 아버지 이 전 회장의 1위 자리를 물려받게 된다.

이 부회장에 이어 홍 전 관장(9조594억원)이 5위에서 2위로 뛰어오르고, 두 딸(5조6천188억원)은 지분가치가 200% 이상 증가하며 공동 14위에서 3위로 껑충 오르게 된다. 1위부터 공동 3위까지 모두 삼성 일가로 채워지는 것이다.

상속세를 감안하면 상속분이 줄어들지만, 삼성 일가의 약진은 마찬가지다. 이 전 회장의 지분에 대한 상속세는 10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는데 상속세를 모두 이 전 회장 지분을 팔아 납부한다고 가정하면 삼성 일가가 물려받는 지분가치는 7조7천397억원이 된다.

이를 법정 상속비율로 나누면 홍 전 관장이 2조5천799억원, 이 부회장 등 세 남매가 각각 1조7천199억원을 가져가게 된다.

이 경우 이 부회장의 지분평가액(9조523억원)은 10조원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1위를 차지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다. 홍 전 관장이 5조7천262억원으로 역시 2위에 오른다.

이 사장과 이 이사장은 각각 3조3천967억원으로,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4조4천625억원)과 김범수 카카오 의장(4조2천877억원)에 이어 공동 5위에 랭크하게 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