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난임 시술 추가 지원, 대구시가 나서라"

지난 2018년 기준 대구시 난임 인구 약 9천 명
건강보험 횟수 차감되면 시술비 지원 기회도 줄어
서울·광주, 지원금 끊긴 이들 추가 시술비 지원 중

대구시가 나서서 난임 시술비를 추가 지원해달라는 난임 부부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대구시가 나서서 난임 시술비를 추가 지원해달라는 난임 부부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난임 시술비 지원에 지자체가 나서달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난임 시술에 적용되는 건강보험 적용 횟수가 적은데다 자비로 부담하는 금액이 크기 때문이다. 서울과 광주 등 일부 지자체는 올해부터 난임부부에게 시술비를 지원하고 있다.

난임이란 부부가 정상적인 성생활을 하고 있음에도 35세 이하는 12개월 이상, 36세 이상은 6개월간 임신이 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지난해 7월 대구여성가족재단이 발표한 '대구여성가족 브리핑 제36호'에 따르면 2018년 기준 대구시 난임 인구는 모두 8천894명. 10년 전인 2008년과 비교했을 때 2천명 이상 늘었다.

보건복지부는 2017년부터 체외수정과 인공수정에 건강보험을 적용해 시술비 일부를 지원하고 있다. 각각 체외수정(신선배아)에는 최대 7회, 체외수정(동결배아)과 인공수정의 경우 최대 5회까지 건강보험이 적용된다.

하지만 건강보험 적용 횟수를 넘어서면 자비를 들여 시술을 받아야 한다. 회당 300만원 가까운 비용이 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난임 부부들의 한숨이 깊어지는 까닭이다.

사정이 이렇자 이달 초 대구시 정책제안 사이트 '토크대구'에는 "난임 지원이 끊긴 대구지역 부부들에게도 시술비를 추가 지원해주는 사업을 진행해달라"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실제로 최근 일부 지자체에서 시술 비용을 추가 지원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서울시는 올 2월부터 '서울형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체외수정 시술 건강보험 적용 횟수를 소진한 난임 부부에게 시술 비용을 추가 지원하는 사업이다. 시술 1회당 최대 180만원, 총 3회까지 지원된다.

광주시도 올 8월부터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을 시작했다. 건강보험 적용 횟수를 소진한 난임 부부에게 1회당 최대 150만원씩, 연간 최대 4회까지 지원한다.

이와 관련해 대구시 출산보육과 관계자는 "당장 대구시가 나서서 추가로 지원하기에는 예산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난임 부부들의 요구가 꾸준히 있어왔기 때문에 시에서도 더 할 수 있는 부분들을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