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소재 중소기업 절반 이상이 지방 이전을 고려했거나 이전 경험 또는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한국생산성본부와 공동으로 지난 1월 13∼18일 수도권에 있는 2천188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들 기업 중 55%가 이 같이 답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25%는 지방 이전을 고려했지만 실행하지는 않았고, 19.8%는 지방 이전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10.2%는 가까운 시일 내 이전 계획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전을 고려했으나 실행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선 ▷협력사 연계 곤란(39.2%) ▷임직원 거주 및 자녀교육(38.9%) ▷공간 확보 곤란(30.7%) ▷인재유치 어려움(26.8%) 등으로 조사됐다.
지역 이전 시 고려하는 사항으로는 ▷사업장 확보(50.2%) ▷교통·물류 환경(40.1%) ▷인력 확보(37.8%) 순으로 꼽았다.
이와 함께 지방 이전을 위해 필요한 인센티브로는 42.5%가 '정부보조금 등 이전 지원금'을 가장 선호했고, '채용인력 인건비 지원'이 18.5%로 뒤를 이었다.
가장 선호하는 이전 지역으로는 대전·세종·충청(57.9%)이 꼽혔으며, 이어 부산·울산·경남(27.3%), 광주·전라(16.2%), 대구경북(14.0%) 순이었다.
아울러 10곳 중 8곳 이상인 84.2%는 현재 사업 분야와 지역 특성을 연계하는 데 대해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지역 기업 간 네트워크가 도움이 된다'는 응답도 77.5%에 달했다.
김사열 균형위 위원장은 "혁신 중소벤처기업은 지역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지역의 성장 동력"이라며 "수도권 과밀화와 지방소멸, 인구절벽 등 국가적 난제를 해소하기 위해 혁신 중소기업 지역유치, 지역창업 활성화 등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균형발전 정책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