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울진 왕피천·불영계곡 국립공원 지정 '民-民 갈등'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관광객 유치" vs "재산권 침해"…군, 공청회 열고 추진 계획 발표
주민 대다수 "관이 나서 중재를"

5월 28일 열린 불영계곡 일대 국립공원 지정 추진을 위한 주민공청회 모습. 울진군 제공
5월 28일 열린 불영계곡 일대 국립공원 지정 추진을 위한 주민공청회 모습. 울진군 제공

경북 울진군이 왕피천 및 불영계곡 일대의 국립공원 지정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주민들 사이에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울진군은 우수한 자연환경을 홍보하고 지역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 왕피천 생태경관 보전지역과 불영계곡 군립공원 일대에 대해 국립공원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군은 지난달 28일 왕피천문화관에서 '왕피천·불영계곡 국립공원 지정 타당성조사 및 추진계획 수립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및 주민공청회를 열고 주민들과의 질의응답을 진행하며 본격적인 소통에 나섰다.

전찬걸 울진군수는 "국립공원 지정을 추진하는 것은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어려워진 지역경제의 위기 극복을 위한 새로운 대안이 필요하기 때문"이라며 "국립공원 지정 시 브랜드 가치 향상으로 관광 활성화와 경제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국립공원 지정에 찬성하는 주민들은 민간 차원의 홍보 활동을 본격화하고 있다. 울진 국립공원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는 지난달 17일부터 울진지역 10개 읍·면을 돌며 군민들을 상대로 여론전을 펴고 있다.

추진위는 국내 최초의 계곡형 국립공원으로 지정될 경우 연간 관광객 200만 명 유치 효과와 정부의 지역주민 지원사업 확대(연간 70억~200억 원), 고용창출 등 다양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알리고 있다.

하지만 정작 해당 지역 주민들은 재산권 침해 등을 이유로 반대 목소리를 높이며 집회 등 집단 행동에 나서고 있다. 금강송면 왕피리 등 해당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왕피천 국립공원 지정 반대 투쟁위원회'(이하 투쟁위)는 3월부터 지금까지 읍·면을 도는 차량 시위 등 반대 집회를 이어가고 있다.

투쟁위는 그동안 생태보호라는 명목으로 갖가지 규제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 규제가 더 강화돼 주민생활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투쟁위는 "지역 실정과 주민 정서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국립공원 지정 추진은 백지화돼야 하며 그 때까지 강력 투쟁해 나가겠다"고 했다.

대다수 주민은 관(官)이 나서 주민 갈등을 봉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민들은 "지역 현안을 놓고 갈등이 빚어지고 있는데도 전혀 중재가 되지 않는 것이 문제"라며 "군민 대의기관인 군의회가 나서든지 해서 더 이상 갈등이 악화되지 않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국립공원 추진에 반대하는 집회가 5월 27일 울진군청 앞에서 열렸다. 이상원 기자
국립공원 추진에 반대하는 집회가 5월 27일 울진군청 앞에서 열렸다. 이상원 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