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으로 조성된 혁신도시의 정주여건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음에도 대구경북 혁신도시로 주소를 옮긴 인구 비율은 전국 혁신도시 10곳 중 중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가 18일 발표한 '2021년 상반기 혁신도시 정주환경 조사결과'에 따르면 대구 신서혁신도시 인구는 약 1만8천700명으로 목표(2만2천명) 대비 85%였고, 김천은 2만2천700명으로 계획 2만7천명의 84.1%에 그쳤다.
이는 혁신도시 10개 가운데 대구 6위, 김천 8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중하위권 수준이다.
반면 부산은 7천4백명이 옮겨와 목표를 초과 달성(105.7%)했고, 전북도 2만9천명이 이주해 계획을 달성했다. 울산도 목표의 99.5%인 1만9천900명이 이주했다.
계획 대비 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충북으로 2만9천900명이 옮겨오면서 달성률이 76.7%에 불과했다.
혁신도시 전체 인구는 22만9천401명으로, 계획인구 26만7천명의 85.6%에 도달했다. 2017년 말(17만4277명)보다 5만5천124명(31.6%), 지난해 6월말에 비해 1만5천584명(7.3%) 늘었다.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은 2017년 말 대부분 마무리됐고, 정부는 2018년부터 혁신도시의 정주환경을 개선하는 '혁신도시 시즌 2' 사업을 진행해왔다.
혁신도시 인구의 평균 연령은 지난 6월 말 기준 34.1세로 매우 젊었다. 우리나라 전체 평균 연령은 43.3세다. 또 혁신도시의 만 9세 이하 인구가 16.5%를 차지해 전국 평균(7.5%) 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이전공공기관 직원들의 가족동반 이주율은 66.5%다. 지난 2017년 말 58.1% 대비 8.4%포인트(p) 증가했다. 정주여건이 점차 개선되면서 신입 직원들이 혁신도시에 터를 잡고, 이주를 미뤄온 임직원들이 추가로 옮겨온 때문으로 풀이된다.
정주시설도 크게 늘었다. 공동주택은 지난 6월 말 기준 8만4천328가구가 공급됐고, 어린이집은 2017년 말 227개에서 지난 6월 말 278개로, 유치원은 34개에서 42개로 증가했다. 초·중·고등학교는 39개에서 47개로, 병의원·마트 등 편의시설은 5천415개에서 7천657개로 늘어났다.
이대섭 국토부 혁신도시지원정책과장은 "앞으로도 기존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지역수요에 맞춘 신규 사업을 적극 발굴하는 등 지역 주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주거·교육·문화·의료·교통 등 살기 좋은 혁신도시를 만들기 위해 노력 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