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케이메디허브 "메르스 치료용 항체 작동 원리 규명"

신규 항제 신속 개발 가능성 열려

케이메디허브 의료기기센터 모습. 케이메디허브 제공
케이메디허브 의료기기센터 모습. 케이메디허브 제공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하 케이메디허브)는 메르스 치료용 단클론 항체 작동 원리를 규명했다고 11일 밝혔다.

케이메디허브에 따르면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메르스 바이러스 치료후보물질인 단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 'KNIH90-F1'의 항원결정기를 규명했다. KNIH90-F1은 국립보건연구원과 미국 국립 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가 공동으로 발굴한 메르스 단클론 항체치료 후보물질이다.

케이메디허브 신약개발지원센터 구조설계부 구조분석팀과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신종바이러스연구센터는 X-선결정구조분석법을 이용, 메르스 항체(KNIH90-F1)와 항원과의 복합체 구조를 규명하고 항체의 항원결정기를 분석했다.

케이메디허브 측은 "메르스 바이러스가 인체에 감염되기 위해서는 바이러스의 수용체결합영역(RBD)이 사람 세포의 디펩티딜펩타이드가수분해효소(DPP4)와 결합해야 한다"며 "KNIH90-F1 항체는 DPP4와 결합하는 메르스 바이러스 부위에 작용함으로써 바이러스의 인체 내 침투를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로 향후 신규 항체를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1월호에 게재됐다. 케이메디허브 신약개발지원센터 장태호 선임연구원은 단백질 구조분석 전문가로서 본 논문의 공동제1저자로 참여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