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서울 대기질에 중국이 미친 영향이 40%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오 시장은 28일 대기질 종합대책 '더 맑은 서울 2030'을 발표하며 "서울시 대기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서울 자체, 수도권, 중국 등 주변국의 세가지로 나눌 수 있다"며 "각각 연평균 3대 3대 4 정도의 비중을 갖는데 특히 중국과의 협조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최근 급격하게 맑은 날이 증가한 것은 코로나19 이후 중국의 제조업 공장들이 최대한 오염물질 배출을 자제해 영향을 준 것"이라며 "직접 베이징을 방문하든가 해서 중국과 아주 긴밀하고, 서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상호존중의 관계를 바탕으로 진전시키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실제 지난 8월 우리 환경부와 중국 생태환경부가 합동 공개한 '미세먼지 대응 현황과 추진 방향'에 따르면 지난 해 중국의 지급 이상 도시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30㎍/㎥으로 2020년 33㎍/㎥보다 9.1%, 2015년 대비 34.8% 감소했다. 중국은 2017년부터 대기오염 종합관리방안을 시행해 중점업종에 대해 오염저감 조치를 지속적으로 시행 중이다.
이에 따라 2020-2021년 중국의 추동계 기간 징진지 및 주변지역, 펀웨이평원 초미세먼지 농도는 2016년 동기 대비 각각 37.5%, 35.1% 감소했고 중오염 일수는 각각 70%, 6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징역 2년 구형' 나경원…"헌법질서 백척간두에 놓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