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소장파로 분류되는 김해영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이재명 대표를 향해 "그만하면 되었습니다. 이제 역사의 무대에서 내려와 주십시오"라고 밝혔다.
김 전 의원은 지난 2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 같이 단 두 문장의 글을 올려 사법 리스크가 현실화된 이 대표를 비판했다. 지난 20대 국회 초선이었던 김 전 의원은 이른바 조금박해(조응천·금태섭· 박용진·김해영) 4인방으로 불리며 당에서 쓴소리 역할을 담당했다.
이 대표의 자진 사퇴를 공개적으로 주장한 야권 인사는 김 전 의원이 사실상 처음인 만큼, 민주당 내에서는 강한 반발이 터져 나왔다.
박홍근 원내대표는 23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개별 정치인의 입을 사전에 검열하거나 통제할 수 없지 않나"라며 "개별 정치인 발언은 발언으로 그냥 이해해 주시면 되겠다"고 일축했다.
진성준 원내수석부대표는 "김해영 전 의원은 실체적 진실을 알만한 위치에 있는 분이 아니다. 무슨 근거로 (이 대표를) 역사의 무대에서 내려와야 될 때라 판단하는지 모르겠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유죄와 무죄가 다투는 상황에서 검찰은 유죄를 주장하는 일방일 뿐"이라며 "그 일방의 주장을 무슨 근거로 사실로 단정하는지, 또 섣부른 예단에 따른 입장을 표명해 당 분란을 야기하는지 모르겠다. 자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친명계(친이재명계) 김남국 의원도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윤석열 정부의 무능과 무책임에는 눈을 감고, 오로지 우리 내부의 분열만 조장하는 '기회주의적 정치'는 사라져야 한다"며 "공인이나 당 지역위원장까지 맡았던 사람이 할 수 없는 행동"이라고 김 전 의원을 비판했다.
이와함께 예상대로 이 대표의 강성 지지층인 개딸(개혁의 딸)들의 원색적인 비난도 이어졌다. 개딸은 김 전 의원의 페이스북 댓글에 "자기 정치하려면 탈당해서 무소속으로 해라", "당장 국힘당으로 가시라", "비겁한 기회주의자" 등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한편 김 전 의원은 지난 20대 총선에서 부산 연제구 선거구에 출마해 국회에 첫 입성했다. 초선임에도 최고위원으로 선출된 김 전 의원은 '조국 사태' 당시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대국민 사과를 촉구하는 등 PK 소장파 의원으로 활약했다.
하지만 21대 총선에서 현 이주환 국민의힘 의원에게 밀리며 낙선의 고배를 마셨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