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과 관련해 진상 은폐 의혹으로 구속 수사를 받던 김홍희 전 해양경찰청장이 석방된다. 지난달 22일 구속된 지 20일 만이다.
11일 법조계에 따르면 이날 서울중앙지법 형사항소5-3부(부장판사 원정숙·정덕수·최병률)는 김 전 청장이 청구한 구속적부심에 인용 결정을 내렸다.
구속적부심은 구속된 피의자가 구속 적법성과 필요성을 다시 판단해 달라고 법원에 요청하는 절차다.
김 전 청장은 2020년 9월22일 서해상에서 해수부 공무원 고(故) 이대준씨가 북한군 총격으로 사망하는 사건이 벌어졌을 때 해경 총책임자로서 사건 경위 수사를 지휘했다. 당시 해경은 세 번에 걸쳐 이씨가 자진 월북했다고 발표했다.
김 전 청장은 당시 확인되지 않은 증거를 사용하거나 기존 증거 은폐, 실험 결과 왜곡 등을 한 혐의(직권남용·허위공문서 작성 등)로 지난달 22일 구속됐다.
또 해경이 중간수가 결과 발표 때 이씨의 도박 채무를 언급하는 등 명예를 훼손한 혐의(사자명예훼손)도 적용됐다.
감사원은 김 전 청장이 이씨가 입었던 구명조끼에 한자가 기재됐다는 국방부 등의 자료를 보고받는 과정에서 '나는 안 본 걸로 할게'라는 발언을 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감사원은 이를 당시 정부의 '자진 월북'이라는 결론에 맞추기 위한 은폐 행위로 판단했다.
구속기간 중인 지난 6일 부친상을 당해 구속 집행 정지로 일시 석방됐던 김 전 청장은 지난 9일 법원에 구속적부심을 청구했다.
한편 김 전 청장과 함께 구속됐던 서욱 전 국방부 장관도 지난 8일 보증금 1억원 납입 등의 조건으로 구속적부심이 인용돼 석방됐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