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오전 1시 10분쯤 경북 경주시 율동의 한 펜션에서 충전 중이던 전기차에서 불이 났다. 불은 30여 분 만에 진화됐지만 펜션 외벽 일부가 불에 타는 등 소방서 추산 3천200여만원의 재산피해가 났다. 당시 차량은 사고 2시간 전쯤 가정용 전기차 충전기로 중전 중이었다. 화재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1년여 전인 지난해 1월에도 새벽 시간 경주 한 주차장에서 충전 중이던 전기차가 불에 탔다.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불이 주변 비닐하우스로 옮겨 붙어 소방서 추산 900여만원의 재산피해가 났다. 국과수 등의 조사 결과 당시 화재는 전기차 충전소 분전함에서 최초 발화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심야 시간 충전 중 전기차 화재가 잇따르면서 대형사고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경북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3년간 도내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고는 모두 14건이다. 2020년 1건, 2021년 4건, 지난해 9건 등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전기차 화재 상당수는 충전 과정에서 발생했다. 해당 기간 14건 가운데 3분의 1이 넘는 5건이 충전 중 발생했다. 올들어서는 총 3건 가운데 2건이 충전 중 발생한 화재였다.
가장 큰 문제는 배터리 온도가 급속도로 오르는 열폭주 현상 탓에 전기차 화재는 진압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현재까지 전기차 화재 진압의 거의 유일한 방법으로 꼽히는 건 두 가지다. '질식소화 덮개'로 차량을 덮어 산소공급을 차단하거나, '이동식 소화수조'를 활용해 배터리가 있는 차량 하부에 집중적으로 물을 주입해 온도를 낮추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경북소방본부는 해당 장비 보급을 늘리고 있다. 2021년까지 도내 4개에 불과했던 질식소화 덮개는 현재 47개로 늘었다. 이동식 냉각 수조는 도내 14개로 다소 부족하지만 오는 6월쯤 추가로 구입해 일선 소방서에 추가로 배치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들 장비를 활용하더라도 차량이 밀집한 심야시간 아파트 지하주차장 등에서 화재가 난다면 자칫 대형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신축 아파트는 대부분 충전 시설이 지하에 있다. 밀폐된 공간이라 연기나 열이 배출되기 힘들고 장비 진입도 어렵다. 질식 위험도 크고 차량이 밀집해 주변 차량에 불길이 번지면 대형 화재로 이어질 수있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전기차 충전설비를 지상에 설치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태헌 경북도립대 소방방재과 교수는 "전기차 충전시설에 요구되는 소방설비 및 화재 안전장치 설치 기준을 법률로 정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대단위 주거시설인 아파트 등에는 전기차 충전시설을 반드시 지상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경북도에 따르면 도내 전기차 등록대수는 2018년 2001대, 2019년 4051대, 2020년 7051대, 2021년 1만1천240대, 지난해 1만9천154대로 해마다 큰 폭으로 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