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증가와 사회적 단절로 고독사가 증가하자 대구시가 위험 가구에 대한 실태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대구시는 오는 2027년까지 인구 10만명당 고독사 발생 수 20% 감소를 목표로 '고독사 예방 시행계획'을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대구시에 따르면 지난 2021년 대구에서 발생한 고독사는 124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17년 85명에서 5년 동안 45.8% 증가한 수치다. 연평균 고독사 증가율은 9.9%로 전국 평균인 8.8%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대구시는 고독사 비율이 높은 50~60세 장년층 1인 가구 11만7천여 가구를 상대로 실태조사를 벌여 사회적 고립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올해는 20~39세 청년층 1인 가구 3천여 가구도 실태조사에 포함한다.
고독사에 관한 실태조사는 지난해 대구 남구청 사회복지 공무원들을 중심으로 한차례 시도됐다. 당시 남구사회복지행정연구회와 남구종합사회복지관은 2010년부터 지난해 5월까지 사회보장정보시스템에 등록된 무연고자 처리자 등 311건의 사례 중 196건의 유효 사례를 바탕으로 분석을 진행했다.
이들이 발표한 '남구 고독사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196명의 고독사 사망자 중 남성이 143명(73%), 여성이 53명(27%)으로 집계됐다. 연령별로는 50대와 60대가 각각 59명(30.1%), 39명(19.9%)으로 가장 많았고 40세 미만도 21명(10.7%)에 달했다.
이들 중 145명(74%)이 기초생활수급자였지만 돌봄 지원을 받고 있었던 사람은 29명에 그쳤고 민간 지원을 받은 사람도 81명으로 절반이 되지 않았다.
이진숙 대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고독사 위험군들은 경제적, 신체적, 정서적 등 여러 복합적인 문제를 떠안고 있는 경우가 많은 만큼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봐야 한다"며 "고독사를 예방하고 이를 지속관리하기 위해선 전문인력 양성도 필수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정 지지도 48.3%…50%선 '붕괴'
대통령실, 이진숙 방통위원장 직권면직 검토
'대여 투쟁' 단일대오로 뭉치는 국힘…조경태 포용 가닥(?)
"아빠, 왜 돈 준다는 아저씨 뽑았어요?"…이준석이 올린 동영상 화제
李대통령 "재정 적극적 역할 필요…씨앗 빌려서라도 농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