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늘봄학교 시행 한달 ‘만족도 높아’…"방과 후 아이 믿고 맡길 수 있어 좋아요"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대구 70개교·경북 180개교 운영…전국 2천838개 초교 참여
맞벌이 부모들 육아 부담 덜어줘
"질 높은 프로그램 지속 운영될지" 우려 제기도

지난달 대구 동도초등학교 늘봄교실에서 신입생들이 수업을 듣고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지난달 대구 동도초등학교 늘봄교실에서 신입생들이 수업을 듣고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시행 한 달을 맞은 늘봄학교가 학부모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으나 질 높은 프로그램의 지속적 운영 문제는 새로운 숙제로 부상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기준 전국 2천838개 초등학교에서 늘봄학교를 운영 중이다. 대구는 전체 232개교 중 70개교(30.2%), 경북은 전체 473개교 중 180개교(38.1%)가 시행 중이다.

늘봄학교는 희망하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에게 아침 수업 시간 전 또는 오후 8시까지 학교에서 다양한 방과 후 돌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제도다. 맞벌이 부모의 육아 부담과 사교육 수요를 줄여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취지로 도입됐다.

학부모들의 만족도는 높은 편이다.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어린이집·유치원보다 더 이른 오후 1시쯤 정규 수업이 끝나 '돌봄 공백'이 발생한다. 학부모 입장에선 이 시간에 믿고 맡길 수 있는 학교가 있어 마음이 놓인다는 반응이다.

늘봄학교를 이용하는 신서초 1학년 학부모 주현아(39) 씨는 "코딩, 댄스 수업 등을 배우는데 아이가 재미있어 하고 만족해 한다"며 "늘봄학교에 참여하면서 원래 다니던 학원도 그만 둘 정도"라고 말했다.

삼영초 2학년 학부모 장민정(42) 씨는 "일을 하는 동안 학교에서 안전하게 아이를 돌봐주니 안심이 된다"며 "지금은 4시에 하교를 하는데 시간을 좀 더 늘릴 생각도 있다"고 했다.

다만 일부 학부모들은 도입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다양하고 질 높은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운영될지 미지수라고 우려했다.

초등학생 1학년 자녀를 둔 대구 지역 학부모 김모(35) 씨는 "프로그램이 없는 것보다는 낫지만 사실 학교에 오랜 시간 있다 보면 아이가 방치되지 않을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또 다른 학부모 윤모(36) 씨도 "교육적인 면에서 학원보다 질이 높다는 보장이 없어서 보낼지 아직 잘 모르겠다"며 "다른 아이들은 학원에 가는데 우리 아이만 교실에 두기도 신경 쓰인다"고 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지난 3일 늘봄학교 현안 브리핑을 통해 "늘봄학교에 좋은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재정을 지원하겠다"며 "지역에 있는 각 대학들과 협력해 대학들이 좋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과 강사를 현장에 보급하는 사업을 구상 중"이라고 밝혔다.

교육부는 2학기부터 전국 초등학교에 늘봄학교를 전면 시행하고, 2025년 초등학교 1~2학년, 2026년 초 1~6학년으로 수혜 대상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