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두 달가량 병원을 떠난 가운데, 서울대 의대 교수들 10명 중 9명이 우울증 의심 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 현장을 이탈한 전공의의 공백을 메우는 데 주 80시간 이상 근무하는 등 격무에 시달린 결과로 읽힌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16일 제4차 비상총회를 열고 서울의대와 서울대병원 교수 52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근무 시간과 피로도 설문조사'를 발표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교수들의 우울증 선별 검사 결과 응답자의 89.2%가 우울증 의심 단계였다. 또 스트레스 인지 정도 측정에서는 '높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가 52.3%, '중간 정도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46%였다.
이들의 건강에 적신호가 켜진 배경에는 전공의 이탈에 따른 근무시간 증가가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실제 응답자 40.6%는 주 80시간 이상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 100시간 이상 일하는 비율도 16.0%나 됐다. 주 52시간 이하로 근무하는 응답자는 8.3%에 그쳤다.
'24시간 근무 후 다음 날 주간 휴게 시간이 보장된다'고 답한 응답자는 75명에 불과했다. '보장되지 않는다'고 답한 응답자는 364명으로, 임상교수 상당수는 당직을 선 다음 날에도 주간 근무를 한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대위는 "이날 총회에서 활동 보고와 현재까지의 정황을 공유했다. 향후 활동 방향에 대해 논의한 뒤 서울대 의대 및 병원 전체 교수들의 의견을 수집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 "쓰레기"라 한 친구는 '조국 수호대'
'이재명 무죄' 선고한 최은정·이예슬·정재오 판사는 누구?
민주당, 韓 복귀 하루만에 재탄핵?…"마은혁 임명 안하면 파면"
'나 홀로 인용' 정계선 집 주소 확산…유튜버들 몰려가 시위
[속보] 이재명 공직선거법 위반 2심 "무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