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집단사직 등 '의정갈등' 국면에서 119구급대가 응급환자 병원 이송에 1시간 이상을 소비한 사례가 지난해에 비해 22% 증가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1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채현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소방청의 관련 자료를 공개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 자료에 따르면 전공의들이 의료 현장을 집단으로 이탈한 이후 응급의료 체계가 정상 가동되지 못하면서 지난 3~8월 응급환자 병원 이송 시간이 1시간을 넘긴 사례는 전국적으로 1만3천940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동기(1만1천426건) 대비 22% 늘어난 수치다.
채 의원은 의대 증원 문제에서 비롯된 의정갈등 장기화로 환자를 수용할 병원을 찾느라 애를 먹는 '응급실 뺑뺑이' 사례가 증가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지역별로는 대전(164건→467건·2.8배), 서울(636건→1천166건·1.8배), 부산(251건→400건·1.7배) 등 대도시에서 이같은 경향성이 두드러졌다. 광주와 전남을 제외하면 모든 광역 단위의 지자체에서 이송 지연사례 증가 추세를 보였다.
장거리 이동 역시 늘어난 모습이었다. 올해 3∼8월 환자 발생 현장과 병원 간 이송 거리가 30㎞를 넘은 사례의 경우 대전은 지난해(170명)의 2.6배인 449명, 서울은2.2배인 362명, 대구는 1.75배인 788명으로 집계됐다.
채 의원은 "문제점이 구급대의 현장-병원 간 이송 거리와 이송 시간 현황을 통해 수치로 확인됐다"며 "정부는 국민의 불안이 커지는 상황을 조속히 해결하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감서 뻔뻔한 거짓말 안돼…위증 왜 수사 안하나"
대구시장 후보 지지도, 이진숙 21.2% VS 김부겸 15.6%
AI 시대 에너지 중요한데…'탈원전 2막' 가동, 에너지 대란 오나
"조용히해! 너한텐 해도 돼!" 박지원 반말에 법사위 '아수라장'
추미애 위원장, 조희대 질의 강행…국힘 의원들 반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