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인용되면서 정치권의 개헌 논의도 본격화하고 있다. 우원식 국회의장을 비롯한 정치권 전반이 뚜렷한 공감대를 보이는 가운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친명계 의원들만 '대선 후 개헌'을 주장하면서 반대쪽에 서 있는 구도가 형성됐다.
우원식 국회의장 주도 속에 권력구조를 중심으로 한 즉각적인 개헌 필요성에 여당은 물론 민주당 비명계 인사, 정치권 및 시민사회계 원로 다수가 일제히 동의하고 있다. 두 차례의 대통령 탄핵 등을 거치며 '1987년 체제'의 제도적 한계가 뚜렷해졌고, 대통령 및 의회의 권력 분산을 가다듬는 한편 지방자치를 강화하는 등 새로운 시대정신을 헌법에 새로이 담아내야 한다는 외침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7일 오는 대선에 맞춰 개헌안을 마련해 국민투표에 부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른바 '신3김(김동연·김부겸·김경수)' 등 야당 비명계 대권 주자들도 일제히 '대선-개헌 동시 투표'를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유력 대권 후보이자 거대 야당을 이끄는 이 대표만 대선 전 개헌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나타내는 중이다.
이 대표는 지난 20대 대선 공약으로 대통령 4년 중임제 도입 등 헌법 개정을 제시한 바 있다. 이 대표는 개헌이 필요하다는 입장은 유지하고 있으나 "지금은 내란 종식이 먼저"라는 논리로 '대선 후 개헌'을 주장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대권 주자들 사이에서 가장 높은 지지율을 보이는 이 대표가 임기 단축, 대통령 권한 축소 등이 달갑지 않아 미온적 반응을 보이는 것 아니겠냐는 추측이 나온다.
다만 그동안의 '선거 후 개헌' 논의가 매번 물거품으로 돌아갔던 점을 감안하면 이번 기회를 놓쳐선 안 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야당 대권 주자인 김두관 전 의원은 7일 "지금까지 20년간 국회에 개헌특위가 굴러갔지만 매번 이런 논리로 한 발자국도 나가지 못했다"면서 "'나중에 하자'는 '하지 말자'와 사실상 같은 말"이라며 대선 후 개헌론을 일축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도 "87헌법의 수명이 다하게 만든 한 축인 이 대표가 개헌을 사실상 반대하는 것은 염치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