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이 서로 100% 넘는 관세를 부과하면 올해 한국 성장률이 약 0.5%포인트(p) 하락할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IB) 씨티그룹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한미 통상 협상의 경제적 영향' 보고서를 발간했다.
씨티는 보고서에서 ▷미국이 한국에 10% 상호관세, 미중 간 100% 넘는 상호관세 유지 ▷미국이 한국에 25% 상호관세, 미중 간 100% 넘는 상호관세 유지 ▷미국이 한국에 10% 상호관세, 미국이 중국에 60% 상호관세 부과(보복 관세 없음) 등 세 가지 시나리오를 상정했다.
통상 협상에 따른 관세 충격이 한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미국과 중국이 올해 2분기부터 서로 100% 넘는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시나리오에서 올해 한국 성장률은 0.5%p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이 우리나라에 부과하는 상호관세가 기존 25%에서 기본관세 수준인 10%로 15%p 낮아지더라도 실효 관세율 하락은 6.7%p(20.7%→14.0%)에 그친다. 한국의 대미 수출 가운데 34%를 차지하는 자동차·부품이 25% 품목관세를 적용받기 때문이다.
세 번째 시나리오에서는 성장률 타격이 줄어든다. 씨티는 시나리오 3에서 관세 충격으로 인한 한국 성장률 영향을 올해 -0.2%p, 내년 -0.9%p로 추산했다. 내년 성장률의 경우 시나리오 1에서 2.2%p, 시나리오 2에서 2.3%p 낮아진다고 봤다. 앞서 씨티는 올해 한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0.8%로,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1.6%로 제시한 바 있다.
김진욱 씨티 연구원은 "관세 충격 영향을 올해 성장률 전망에는 일부 반영했고, 내년 성장률 전망치에는 거의 반영하지 않았다.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미 간 통상 협상이 성공적으로 끝나더라도 미중 간 갈등이 계속된다면 관세가 성장률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크게 완화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갭투자 논란' 이상경 국토차관 "배우자가 집 구매…국민 눈높이 못 미쳐 죄송"
"이재명 성남시장 방 옆 김현지 큰 개인 방" 발언에 김지호 민주당 대변인 "허위사실 강력규탄"
"아로마 감정오일로 힐링하세요!" 영주여고 학생 대상 힐링 테라피 프로그램 운영
문형배 "尹이 어떻게 구속 취소가 되나…누가 봐도 의심할 수밖에 없는 사건"
'금의환향' 대구 찾는 李대통령…TK 현안 해법 '선물' 푸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