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한 뒤, 곧바로 광주를 찾았다. 한 전 총리는 5.18 민주묘지를 참배에 나섰지만, 시민 단체의 반발로 무산됐다.
한 전 총리는 이날 오후 5시 35분쯤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 도착해 지지자 100여명의 연호를 받으며 민주묘지로 향했다.
그러나 민주묘지로 들어가는 초입인 '민주의 문' 앞에서 한 전 총리의 대선 출마와 5·18 묘지 참배를 비판하는 시민단체 '내란청산·사회대개혁 광주비상행동'과 '오월정신지키기범시도민대책위' 관계자들에게 가로막혔다.
이들 단체는 "내란 동조 세력 한덕수는 물러가라", "5·18 참배 자격 없다"는 등 목소리를 높였고, 민주의 문으로 다가오는 한 전 총리를 경호하는 인력과 밀고 당기는 경미한 몸싸움을 벌였다.
한 전 총리는 지지자들에게 둘러싸인 채 10여분간 민주묘지로 들어가지 못했고, 이에 헌화·분향 대신 민주의 문 앞에서 고개를 숙이며 참배를 대신했다.
묵념 직후에도 시민 단체의 반발이 사그라지지 않자 발걸음을 돌린 한 전 총리는 "여러분 조용히 해주세요"를 여러 차례 외쳤고, "저도 호남 사람입니다. 우리는 통합돼야 하며 서로를 사랑해야 합니다"고 말하며 제자리에 있다가 발길을 돌렸다.
또 타고 온 버스로 향하는 길에는 자신을 보러 온 지지자들과 악수하며 고마움을 표했고, 재차 "저도 호남 사람입니다. 서로 사랑해야 한다. 서로 미워하면 안 된다. 우리 5·18의 아픔을 호남 사람들은 다 살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김소영 한덕수 캠프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는 첫 지방 일정으로 광주 5·18 민주묘지를 찾아, 민주주의를 위해 헌신하고 희생하신 영령들께 깊은 존경과 애도의 뜻을 전하고자 했으나 일부 시민단체의 격렬한 반대로 참배가 무산돼 안타깝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이어 "(한 후보가) '우리가 그때의 아픔을 잊지 않고, 그런 일이 다시 일어나선 안 된다는 각오를 다지는 의미에서 '민주의문'은 활짝 열려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민주화에 대한 평가와 존경심 모두 우리 국민이 나눠야 한다. 참배하지 못해 매우 안타까운 마음이지만 다음에 또 오겠다'고 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