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의 한 달간 행보는 '추진력'과 '실용주의', '소통'으로 요약된다. 취임 직후 30조5천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안 편성을 과감히 추진했고, 초대 내각 역시 '탕평 인사'로 빠르게 마무리지었다. 다만 숨 가쁜 속도전 속 민정수석이 낙마하면서 인사검증 시스템이 도마에 올랐다. 야당과의 협치 또한 난제로 남았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4일 취임 첫 행정명령으로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 구성을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같은 날 저녁 바로 첫 회의를 주재해 '경기 마중물'로서의 재정 역할을 거듭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대통령 지시에 따라 곧바로 추경안 편성에 돌입했다.
총 30조5천억원 규모의 추경안은 전방위적인 속도전을 거쳐 15일 만에 국무회의를 통과했다. 추경안은 지난달 23일 국회에 제출돼 현재 심사가 진행 중이다. 이 대통령은 같은 달 26일 첫 국회 시정연설에서 "지금은 경제가 다시 뛸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설 때"라며 추경의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대통령실·내각 인선도 취임 한 달 만에 마무리 단계로 접어들었다. 현재까지 19개 부처 중 국토교통부와 문화체육관광부를 제외한 17개 부처 장관이 인선됐고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는 이 대통령의 취임 당일 내정됐다. 윤석열 정부에서 임명된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을 유임하는 등 실용주의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취임 이후 코스피가 3000을 돌파하는 등 가시적인 경제 성과도 있었다. 이 대통령은 대선 공약으로 내놨던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등과 관련해서도 강한 추진력을 드러냈다.
지난달 25일엔 '광주시민·전남도민 타운홀 미팅'을 진행해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기도 했다. 당시 이 대통령은 정부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광주 군 공항 이전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이 발언으로 대구 군 공항 이전 문제가 걸려 있는 대구경북(TK)신공항 사업도 물꼬가 트일지 관심이 집중됐다.
하지만 '민정수석 낙마'로 정부 인사검증 시스템이 복병으로 떠올랐다. 오광수 전 대통령실 민정수석이 부동산 차명 보유로 임명 5일 만에 낙마하면서 파장이 컸다.
장관 후보자들이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있는 만큼 각 후보자들 검증 과정에서 야당의 공세 또한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전임 정부를 정조준하는 것 또한 야당과의 대치가 굳어지는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를 겨냥한 '3대 특검법(내란 특검법·김건희 특검법·채 상병 특검법)'은 지난달 10일 국무회의에서 1호 법안으로 의결됐다.
댓글 많은 뉴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이재명 정부, 한 달 동안 '한은 마통' 18조원 빌려썼다
[정진호의 每日來日] 청포도의 꿈, 청진과 포항 쇳물로 길을 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