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이 작년부터 지난 13일까지 약 2년간 캄보디아 관련 실종·감금 의심 사건을 143건 접수했다고 밝혔다.
이중 대상자의 소재와 신변 안전이 확인된 사건은 91건이며, 나머지 52건은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
경찰이 캄보디아 실종·감금 관련 통계를 공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근 캄보디아 내 한국인 납치·감금 피해가 잇따르며, 경찰은 대응책으로 코리안 데스크(한인 사건 처리 전담 경찰관) 설치, 경찰 영사 확대 배치, 국제 공조수사 인력 30명 보강 등을 추진 중이다.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전날 기자간담회를 통해 "다음 주 캄보디아 경찰청 차장과의 양자 회담에서 캄보디아 내 코리안 데스크 설치 및 현지 경찰의 강력 대응을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외교부가 파악한 현재까지 현지에서 안전이 확인되지 않은 한국인이 80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외교부에 접수된 신고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국내 경찰청이 집계한 자료와 중복될 수 있어 정부는 현재 교차 검증을 진행 중이다.
이날 외교부 당국자는 "캄보디아에 입국했다가 연락이 두절되거나 감금됐다는 신고가 올해 1∼8월 동안 330건 접수됐고, 지난해에는 220건이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올해 260여 명, 지난해 210명은 사건이 '종결' 처리됐다. 종결된 건은 현지 경찰에 의해 체포·구조되거나 추방된 경우, 스스로 탈출 또는 귀국했거나 연락이 재개된 사례 등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올해 8월 기준으로 약 80명의 한국인은 여전히 소재와 안전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라고 외교부는 전했다.
당국자는 "이들 중 일부는 실제 감금이나 납치 피해자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일부는 자발적으로 온라인 범죄조직에 가담한 뒤 의도적으로 연락을 끊었을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현재까지 취업사기에 따른 사망 확인은 20대 대학생이 지난 8월 '박람회에 다녀오겠다'며 캄보디아로 갔다가 현지 범죄단체의 고문 끝에 숨진 사례가 유일하다.
캄보디아 경찰 단속에 따라 검거된 한국인 수십 명에 이른다. 외교부에 따르면 지난 7월과 9월 캄보디아 측의 단속에 따라 한국인 90명이 온라인 스캠 범죄 현장에서 검거됐다. 현지 경찰에 단속되면 구치소에 2달가량 구금됐다가 추방되는 게 원칙이라고 한다.
이들은 주캄보디아 한국 대사관의 영사 조력과 귀국을 거부하다가 최근 들어 조금씩 귀국하고 있어 60여 명이 남아 있는 상태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들이 현지 온라인 스캠에 자발적으로 가담한 것으로 본다며 "신속한 국내 송환이 이뤄지도록 우리 경찰 측과 긴밀히 협력 중"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감서 뻔뻔한 거짓말 안돼…위증 왜 수사 안하나"
대통령 재판 놓고 대법원장 증인으로…90분 '난장판 국감'
위기의 건설업, 올해 들어 2천569개 건설사 사업 포기
추미애 위원장, 조희대 질의 강행…국힘 의원들 반발
'캄보디아 납치' 인도는 1천명 구출, 한국은 뒷북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