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발발 43주년. 그 상흔의 골이 깊어질수록 상이군경들의 숫자도 불어나고 있다.이같이 해가 거듭될수록 상이군경이 늘어나는 것은 부상당한 6.25 참전용사들중 휴유증이 뒤늦게 나타난 것이 주된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다.또 정부의 까다로운 심사가 최근들어 완화된 것도 한 원인이다.그러나 전쟁중 부상의 정도가 심한 1-3급 상이군경들중에는 상당수가 고통에시달리다 이미 사망했으며 아직도 보호자를 동반해야하는 거동불편 상이용사도 2백90명에 이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미 60-70대에 이르른 대구.경북지역에 등록된 상이용사들은 지난 60년대에는 4천4백여명에 불과했으나 70년에는 5천3백69명이었으며 80년에는 6천명을넘어섰고 85년 6천5백52명 90년 6천9백30명 지난 5월말현재는 7천4백83명으로 밝혀졌다.
원호청의 한관계자는 [중상 상이용사들이 사라져가는 대신 후유증이 뒤늦게나타나거나 조국을 위해 싸웠다는 것을 후손들에게 더욱 명확히 알려주기위해 해가 갈수록 등록상이군경이 늘고있다]고 말하고 [정부가 이들에 대한 각종 수혜의 범위를 넓혀나가는 것도 등록 상이군경의 숫자를 늘게하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이 관계자는 또 [종전의 까다롭던 심사규정을 완화, 전공상확인서등으로 간단히 등록할수 있는 제도도 중요한 요인]이라며 다만 사라져가는 중상 상이용사들에대해 보다 많은 정부지원이 요구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