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부는 24일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울산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국보 제 285호, 명안공주관련 유물을 보물 제 1220호로 지정했다.또 보물 제596호인 '궁궐도'(궁궐도)는 국보급으로 올려 제249호 '동궐도'(동궐도)에 추가, 지정했다.국보에 지정된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는 신석기시대 후기에서 청동기시대에 걸쳐 강변암벽에 새긴 그림으로 고래.물개.거북 등 바다동물과 호랑이.사슴.염소 등 육지동물, 탈을 쓴무당, 사냥꾼, 배에 탄 어부, 목책, 그믈 등다양한 종류의 모습들이 화면 가득 새겨져 있다. 한 화면에 이처럼 다양한 종류의 물상들이 그려져 있는 것은 세계적으로 매우 드문 예이다.이들 모습은 떼어내기로 형체를 표현한 음영화(음영화)와 쪼아파기의 선각화(선각화)기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여러 사람이 탄 배, 일부 동물들의 내장이 망처럼 연결되어 투시된 것처럼 보이도록 한 점등은 북부 유럽이나 시베리아 계통의 암각화전통을 보여주고 있다.
이 암각화는 수렵과 어로를 위주로 한 당시의 생활상과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는신앙풍속의 일단면을 알려주는 선사시대의 가장 귀중한 문화유산중 하나로미술사및고고학, 민속학연구에도 귀중한 자료다.
명안공주관련 유물은 조선 18대 임금인 현종(현종 1641~167 4)의 3녀이자 숙종(숙종 1661~1720)의 누이동생이었던 명안공주(?~1687)가 쓰던 것들이다.현종과 왕비인 명성왕후(명성왕후 1642~1683), 숙종 등 왕실간에 오가던 한글편지를 비롯하여 임금의 필적을 찍은 판본, 서책, 명안궁에 하사된 땅의 면세등을 진정하는 내용의 문서, 백옥제 장도, 세수대야 등이 들어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징역 2년 구형' 나경원…"헌법질서 백척간두에 놓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