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物價 인상 러시 쌀값만 '제자리'

"政府 물가가중치 높게 잡아"

소비자물가지수 책정에 따른 쌀값 가중치 적용 때문에 쌀값이 제값을 받고 있지 못하다며 농민단체들이 시정을 요구하는등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이는 최근 공공요금을 비롯한 생필품에 이르기까지 물가인상 러시를 이루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이에따른 대책으로 소비자물가지수 산정에서 가중치가 높은쌀값잡기 에만 매달린 인상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농민단체들은 정부가 지난해말부터 지속적인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는 쌀값을 최근 공공요금.생필품등 물가인상의 주범으로 몰아 영농의욕을 더욱 꺾고있다며 비난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현재 정부는 소비자물가지수를 산정하면서 전체 4백70개 품목 가운데 쌀값이차지하는 비중을 1천분의 54.4로 주거비중 전세(傳貰.1천분의 78.1) 다음으로 가중치를 높게 둬 물가대책을 세우고 있다.

이에따라 지난해 쌀생산량이 급격히 줄어 추곡수매 이후부터 뛰기 시작한 쌀값이 예년과 달리 80㎏가마당 15만~16만원선까지 치솟자 정부미 방출량 확대등집중적인 쌀값 관리에 나서고 있다.

3일 전국농민회(全農)는 지난 92년부터 적용돼오고 있는 현행 쌀값 가중치에비해 식생활 개선등 쌀소비 격감으로 실제 비중은 약 15~20포인트 정도 낮아졌다고 주장하고 쌀값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절반정도로 낮아졌지만 물가지수를 5년마다조정하도록 해 새로운 물가지수가 적용되는 97년까지는 현행 가중치가 그대로 적용되면 농민들만 갈수록 손해를 볼뿐 이라고 했다.

농민단체 한 관계자는 도시가계의 전체지출비중 쌀값비중은 3%% 정도에 불과

한데도 물가지수에 따른 가중치가 너무 높아 농민들에게 모처럼 일고 있는 쌀증산의욕을 꺾는 처사 라고 털어놨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